Categories
thoughts

problem of scaling

규모의 패러독스

[요점] 규모가 커질 경우 적용되는 규칙이 달라진다.

최근 한 레스토랑에서 메뉴판에 사용할 사진 촬영을 해달라고 나에게 부탁했다. 보통 인스타그램용으로 찍는 개별 음식 사진과는 달리 메뉴판에 올라갈 30-40장의 사진은 전체적인 통일성과 일관성을 위해 구도와 조명 등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어느 정도의 규모가 있는 작업은 1-2개 사진 촬영과는 다른 조건을 요구한다는 것을 이번 기회에 경험했다. 취미 삼아 1-2장 찍는 것은 부담없이 즐길 수 있지만 일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30-40장의 사진을 찍는 것은 무척 힘든 일이었다.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를 겪으면서, 개인 위생과 공중보건 사이에는 규모의 차이가 존재하며 그 규모의 차이 때문에 적용되는 규칙이 다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즉, 국지적인 개인 위생 차원에서는 합리적인 선택이 공중 보건 차원에서는 꼭 그렇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어떤 문제의 규모가 10배, 100배, 1000배, … 올라갈 때마다 주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이 각각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개인 차원에서의 심각한 문제는 전체 규모 차원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문제로 여겨지지 않거나, 개인 차원에서는 별일 아닌 사소한 문제가 전체 규모 차원에서는 심각하게 다뤄지는 규모의 비대칭성이 발생할 수 있다.

왜 그런 것인지 설명이 쉽지는 않지만 대충 그렇다. 설명이 어려운 이유는 복잡성(complexity)의 발현 때문이다. 특히 전염병처럼 네트워크 효과를 가지는 체계는 더 복잡하다.

정부 차원에서 모임을 자제하며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라는 지침을 내리는 것은 군집 단위를 소규모로 유지하여 복잡성이 커지는 사태를 막으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키워드: #전염 #전파력 #복잡성 #scaling #규모 #네트워크 #희석효과

참고 (앞으로 읽으려고 하는 글들):

  1. Robert I. Sutton, “Scaling: The Problem of More” (HBR.org)
  2. William M.K. Trochim, “General Issues in Scaling” (Research Methods Knowledge Base)
  3. 제프리 웨스트 지음, 이한은 옮김, “스케일: 생물, 도시, 기업의 성장과 죽음에 대한 보편 법칙” (김영사 2018)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