エネルギーで考える「風が吹けば桶屋が儲かる」”라는 제목의 흥미로운 인터뷰 기사가 있었다. 인터뷰 대상은 스미토모상사 글로벌 리서치 사장인 다카이 히로유키(高井裕之). 내용을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미국은 2007 년부터 본격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한 셰일가스 덕분에 2018-2019년 경이면 천연가스를 자급자족할 수 있게 된다. 카타르는 미국으로 수출되는 천연가스 공급량을 늘이기 위해 증산 작업을 하고 있었는데 미국이 셰일가스를 통해 자체적으로 천연가스를 공급하게 되는 바람에 남아도는 천연가스를 어떻게 할지 고심 중이었다. 2011년 3월 11일,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일어나 일본은 원자력 발전소 가동 중지를 결정하고, 화력발전소 가동을 위해 천연가스 수입량을 갑자기 늘여야 하는데 마침 카타르와 거래가 성사되므로써 서로의 필요가 충족되어 그나마 불행 중 다행이었다고. 한편, 미국내 화력발전소는 석탄 대신에 저렴한 가격에 공급되는 천연가스를 이용하기 시작. 남아도는 석탄은 유럽으로 수출되어 독일을 비롯한 유럽의 화력발전소에서 미국산 석탄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중. 그렇게 되니 천연가스 수요량의 1/3을 러시아로부터 수입하는 유럽은 그렇지 않아도 껄끄러운 러시아에 대한 의존을 이참에 줄여가려고 함. 러시아도 유럽향 천연가스 수출이 불안해질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그동안 오래 협상을 끌어왔던 중국과의 천연가스 수출 계약을 급히 마무리 지었음. (이걸 읽고서야 푸틴이 왜 중국에 갔는지 이해가 되었다.) 러시아는 기왕 이렇게 된 마당에 한국과 일본에까지 천연가스를 수출하고 싶어함. 그래서 북한을 통과하는 가스공급망 건설 가능성을 타진 중이라는 소문도 있음. 일본은 러시아의 값싼 천연가스를 수입하고는 싶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문제삼아 경제제재를 취하려는 국제사회의 분위기를 외면하기 어렵다는 딜레마에 빠져있다고. 한편, 독일은 신재생에너지의 공급량을 전체 에너지 소비의 20%까지 끌어올린 상태. (일본은 1.6%에 불과) 신재생 에너지의 보급에 따른 비용을 전기요금에 부과하고 있는데 가정당 부과금이 2000년에 약 800원이었던 것이 2014년에는 약 24,000원까지 올랐다고. 깨끗한 에너지를 누리려면 상당한 댓가를 치뤄야 한다는 현실을 알게 되었다. 미국은 2018년 정도면 천연가스를 수출하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20세기에 에너지 패권을 주도해온 원유가 그 자리를 천연가스에 내어줄 가능성을 내다본다고.이렇게 세계를 둘러싼 에너지와 관련된 조각을 퍼즐 맞추듯 설명해 주니 흥미롭다. *2011년에 만났던 한 에너지 컨설턴트가 천연가스의 중요성을 역설할 때만해도 그의 주장에 대해 시큰둥하게 생각했었는데 불과 3년만에 일이 이렇게 커질 줄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