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2014년 08월

  • quote: 오카자키 다케시, 장서의 괴로움

    “대부분 책이 너무 많이 쌓이면 그만큼 지적 생산의 유통이 정체된다. 사람 몸으로 치면 혈액순환이 나빠진다. 피가 막힘없이 흐르도록 하려면 현재 자신에게 있어 신선도가 떨어지는 책은 일단 손에서 놓는 편이 낫다.” — 오카자키 다케시 지음, 정수윤 옮김, 장서의 괴로움, 정은문고, p31
    이 책은 가지고 있는 책이 너무 많아 어려움을 겪는 이야기를 적은 에세이다. 물건이 너무 많으면 어지간히 치워도 표가 나지 않는다. 저자는 가지고 있던 책 중에서 2천권을 헌책방에 팔아넘겼음에도 불구하고 서고 풍경에 전혀 변함이 없음을 보고 어이가 없어 다음과 같이 적는다.
    “그때 깨달았다. ‘대체 당신 집에는 책이 몇 권이나 있는 겁니까?’라는 질문은 정원에 잡초가 몇 포기나 있느냐는 질문과 같이 엉뚱하고 답변 불가능하다는 것을.” — 같은 책, p31
    책은 분명히 유한한 개체이고 하나 둘 세어 나가다 보면 반드시 구체적인 숫자가 나오는 물건인데도 불구하고 책을 많이 가진 사람들은 자신이 몇 권의 책을 가지고 있는지 모른다는 불편한 진실. 도대체 왜 그런 것일까? 정작 자신은 엄청나게 많은 장서를 보유하면서 저자는 5백 권 정도로 장서를 제한하는 안을 하나의 대안으로 언급한다. 마치 현실적이지 않은 다이어트 목표를 꿈꾸듯 말이다.
    “세상 사람들은 하루에 세 권쯤 책을 읽으면 독서가라고 말하는 듯하나, 실은 세 번, 네 번 반복해 읽을 수 있는 책을 한 권이라도 더 가진 사람이야말로 올바른 독서가다.” — 같은 책, p150 (시노다 하지메의 책 “독서의 즐거움”에서 인용한 것임)
    집에 뭐가 너무 많아서 괴로운 것은 꼭 책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리라. 저자는 수집 활동이 가진 위험을 다음과 같이 비유했다.
    “광적인 수집가가 아니더라도 모으면 모을수록 수집품이 공간을 압박하고, 부족함을 메우기 위한 ‘번민’이 싹튼다. 커다란 개를 산책시키는 키 작고 힘없는 남자처럼 수집품이 힘을 얻는 순간부터 수집가는 거기에 휘둘린다.” — 같은 책, p102
    성경이 말하는 “큰 폐단 되는 일”이 이런 종류의 일이 아닐런지.
    “내가 해 아래서 큰 폐단 되는 것을 보았나니 곧 소유주가 재물을 자기에게 해 되도록 지키는 것이라” — 전도서 5:13 (개역한글)
    ]]>

  • 너 많이 컸다

    위의 사진은 어느 공원에 설치된, 청소년의 바람직한 행동습관을 계도하기 위한 안내문인데 담배와 탄산음료가 동급으로 다뤄진다는 점이 흥미로왔다. 담배가 탄산음료에게 “야, 너 많이 컸다”라고 할 것 같은 분위기.

    1. 청소년보호법에서는 19세 미만의 청소년에게 주류와 담배의 판매를 금지하는 것을 비롯해서 여러가지 금지 사항을 언급하고 있는데 그런 다양한 금지 목록을 건너뛰고 탄산음료 이야기를 하다니 의외다.
    2. 위의 안내문을 진지하게 받아들일 경우 치킨 배달을 시키면 콜라 등의 탄산음료가 제공되는 현실을 청소년들이 어떻게 생각할까?.
    3. 왜 이 목록에 음주가 빠져있을까?
    ]]>

  • 사회적 신호장치로서의 손목시계

    비싼 손목시계의 존재이유에 대해 한동안 의문을 가졌었다. 현재 시간을 아는 것이 목적이라면 약 2만원 정도 가격의 손목시계로도 충분한데 수백만원, 심지어는 수천만원에 달하는 손목시계에 도대체 왜 돈을 쓰느냐 말이다. Kate Fox 지음, “Watching the English”–이 책은 “영국인 발견”(학고재, 2010)이란 제목으로 번역되었는데 2014년에 원서 개정판이 나오면서 번역판에는 나오지 않는 내용이 추가되었다–에서 원래 영국인들은 모르는 사람과는 말을 섞지 않는 과묵한 사람들이지만 승마나 오토바이를 즐기는 사람들은 쉽게 친해진다는 것, 그리고 각자의 말이나 오토바이가 서로 간의 대화를 촉발하는 매개체가 된다는 이야기를 읽고 고급 손목시계의 효용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었다. 어디까지나 추측이지만, 일부 남자들의 세계에서 손목시계는 사회적 접촉에 있어 일종의 신호 장치가 아닐까 싶다. 예컨대 국제선 비행기의 비즈니스석이나 레스토랑에서 낯선 사람과 지나칠 때 손목시계는 무언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엄청난 고가의 손목시계를 찬 사람은 “난 시간당 벌어들이는 금액이 어느 정도는 되는 사람이니 아주 중요한 일이 아니라면 괜히 말걸거나 귀찮게 하지 말아주세요. 하지만 서로 사업에 도움이 될만큼 당신도 어느 정도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관심이 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조용히 발신한다. 그런 특별한 사회적 효용이 아니고서야 자동차 값보다 비싼 시계를 굳이 차고 다닐 이유가 있을까 싶다. (착용하는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독특한 개인적인 만족과 가치가 따로 있는지도 모르지만.) 역시 추측일 따름이지만 몇 가지 시계 종류별로 전하는 메시지를 상상해 보았다. 모두 성인 남자인 경우다.

    1. Timex : “나는 미국인이며 실용성을 중시하는 사람입니다. “
    2. Casio G-Shock: “난 활동적인 사람입니다. 혹시 야외활동이나 운동을 좋아하시나요?”
    3. Rolex: “나는 비교적 보수적인 성향의 사람입니다. 나는 안정을 추구하며 변화 그 자체를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4. Swatch: “나는 출장을 자주 다니고 새로운 것, 다양한 것을 좋아하고 비교적 섬세한 편입니다.”
    5. 갤럭시 기어: “난 삼성전자 또는 그 관련 회사 임직원입니다”
    6. Nike Fuel/Fitbit/Jawbone UP: “Apple에서 iWatch가 출시되길 기다리는 중이예요”
    7. 전/현직 대통령 이름이 새겨진 시계: “나는 내가 인정받았다는 사실을 자랑스러워 합니다.”
    8. 미키마우스 시계: “나는 Robert Langdon입니다”
    9. 시계를 오른쪽에 찼다: “난 평범한 걸 싫어하고 의외성을 좋아합니다.”
    10. 시계를 안 차고 대신 팔찌를 찼다: “나는 시간을 초월한 존재이고 싶어요. 아, 핸드폰으로도 충분해요.”
    11. 시계도 안 차고 팔찌도 없다: _____________________ (뭘까?)
    위의 사진은 순전히 기능적 목적으로 차고 다니는 Casio Illuminator A-220W-1BS. 버튼을 누르면 은은한 빛이 들어와서 극장처럼 어두운 곳에서도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계가 주는 메시지는 아마도 “저는 멋부리는 데는 관심도 재능도 없어요” 정도인데 생각해보니 너무 심심하다. 나도 나만의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손목시계를 차야겠다. 아무래도 iWatch가 되지 않을까 싶은데 (출시가 된다면 말이지만).]]>

  • quote: 말테 헹크, 그림자로 살아가는 일본 젊은이들

    독일의 시사주간지 Die Zeit (2014.7.13자)에 실린 Malte Henk의 “Jugent ohne Sex” 기사를 우리말로 번역해 게재한 이코노미인사이트 (2014.8.1자) 기사 “그림자로 살아가는 일본 젊은이들“을 관심있게 읽었다.

    “아들아, 네 미래 계획이 무엇이니?라고 부모님은 종종 묻는다. 히카루는 막연하게 샐러리맨이 되고 싶다고 바랄 뿐 정확한 답을 할 수가 없다. 그는 정신적으로 이상한 사람이 아니라 그저 어디선가 길을 잃었을 뿐이다. 히카루와 같은 또래의 수많은 일본 젊은이도 마찬가지다. 히카루가 다시 길을 찾을 것 같아 보이진 않는다.” — 말테 헹크 지음, “그림자로 살아가는 일본 젊은이들“, 2014년 8월 1일자 이코노미인사이트 기사 (p17)
    왠지 남의 이야기 같지 않아서 말이다. 위 인용구의 독일어 기사 원문과 구글번역기를 이용한 번역문 그대로를 아래에 싣는다.
    “Junge, was sind deine Pläne, fragen die Eltern oft. Hikaru weiß darauf keine Antwort, außer dem vagen Wunsch, ein Salaryman zu sein. Er ist kein Spinner, er hat nur den Weg verloren, wie so viele Japaner seines Alters, und es sieht nicht so aus, als würde er ihn jemals wiederfinden.” Boy, what are your plans, the parents often ask. Hikaru knows no answer, except a vague desire to be a salaryman. He’s not a spinner, he has only lost the way so many Japanese of his age, and it does not look as if he would ever see him again find. (translation by google) — Malte Henk, “Jugent ohne Sex“, Die Zeit (2014.7.13)
    ]]>

  • new bookshelves

    오랜 고민 끝에 새로운 책장을 구입하기로 했다. 기존 책장의 수납한계를 넘어선 것이 가장 큰 이유다. 책장을 구입한다고 했더니 아껴쓰길 좋아하는 둘째의 표정이 어두워진다. 뭘 사면 집이 지저분해져서 싫다는 것이다. 둘째에게는 미안하지만 구입해서 책을 꽂아보니 딱 원하던 결과가 나왔다. 책을 한 곳에 모아두니 마음도 안정되는 듯 하다.]]>

  • quote: Anne Lamott, Bird by Bird

    글쓰기에 관한 명저 중 하나로 손꼽히는 Anne Lamott의 Bird by Bird. 읽으려고 오래 갖고 있었는데 시작은 여러 번 했지만 진도가 잘 나가지 않는다. 고전문학을 소장하기만 하고 읽지는 않는 사람이 많은 것과 비슷한 이치일까?

    “I grew up around a father and a mother who read every chance they got, who took us to the library every Thursday night to load up on books for the coming week.” — Anne Lamott, Bird by Bird: Some Instructions on Writing and Life, Anchor Books, p.xi
    이 책의 서문은 위의 글로 시작한다. 자기 부모는 어떤 분이었다는 것을 한 문장으로 요약한 셈인데 무척 인상 깊다. 시간만 나면 책을 읽으시는 분들이라는 얘기다. 이 부분만 읽어도 책읽기에 대한 매력이 느껴진다.
    “One of the gifts of being a writer is that it gives you an excuse to do things, to go places and explore. Another is that writing motivates you to look closely at life, at life as it lurches by and tramps around.” — Ibid., p.xii
    그녀의 문장에는 묘한 매력이 있다. 글쓰기는 삶을 자세히 관찰하도록 부추긴다는 통찰은 얼마나 흥미로운가. 추천. *국내에서는 최재경 옮김, ‘글쓰기 수업‘이란 제목으로 번역되었는데 아직 읽어보지는 못했다.]]>

  • What does your office do outside office hours?

    “물건을 만들 때 디자이너는 그 물건이 ‘사용중’인 상태를 강하게 의식하게 됩니다만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시간이 긴 경우가 많습니다.” – 사토 오오키, 가와카미 노리코 지음, ウラからのぞけばオモテが見える, 日経デザイン, p137 제목을 기억하지 못하지만 어느 일본 경영컨설턴트가 쓴 책에서 회사 설립시 가장 낭비인 지출은 사무실 임대료라고 한 것이 인상깊었다. 사무실 임대료에 대한 지출이 낭비인 이유는 실제 활용율이 24%에 훨씬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것. 주당 근무시간을 40시간이라고 한다면 24시간 곱하기 7일 = 168시간 중 40시간만 사용하고 나머지 128 시간 동안 사무실이 하는 일이라곤 사무기기와 서류를 지키는 것 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사를 설립할 때 근사한 사무실을 차려야 체면이 선다는 생각을 버리고 남의 사무실의 일부를 빌리거나 해서 초기 자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라고 권한다. 새로 설립되는 회사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회사는 사무실이 업무용으로 활용되는 시간보다 그 안에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시간이 훨씬 많다. 따라서 직원이 근무하지 않는 시간 동안 빈 공간이 더욱 생산적인 일을 하거나, 혹은 일을 하지 않더라도 더욱 의미있는 존재로 있도록 설계한다면 그 활용도가 훨씬 높아질 것이다. 그런 활용의 일환으로 위에 인용한 디자이너 사토 오오키는 일본 오모테산도에 위치한 피트니스짐 Illoiha Omotesando의 건물 1-2층을 연결하는 내부벽을 활용할 방안으로 이를 암벽타기 공간으로 꾸밀 것을 제안했다. 동시에 일반적인 암벽타기 구조물 대신 특이한 장식을 시도했다. 즉, 벽타는 사람이 없을 때에도 시각적인 장식물로서 손색이 없는 다양한 설치물로 벽을 치장한 것이다. 본 블로그에서는 가급적이면 남의 이미지를 가져오지 않으려고 애쓰고 있는 관계로 다음 링크를 방문해서 직접 확인해보시면서 영감을 받으시길: 사례: Illoiha Omotesando Fitness Gym (Tokyo, 2006.12) 흥미롭게도, 이 피트니스짐에 설치된 희한한 암벽타기 공간설계가 국내외 매체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게 되어 회원 수가 급증하게 되고, 결국 더 좋은 곳으로 이사를 가게 되었는데 새로 이사간 건물에는 암벽타기 공간을 설치할 수 없어서 지금은 그 암벽타기 공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 애견카페

    비가 주룩주룩 내리던 수요일 저녁, 애견카페라는 곳에 처음으로 가보았다. 원래 가보려고 했던 큰 애견카페는 마침 휴일이라 검색에 검색을 거듭한 끝에 겨우 찾아간 곳은 수원시 인계동에 위치한 러닝독(Running Dog) 애견카페. 몇 가지 인상적이었던 점:

    1. 애견카페의 첫인상은 맞벌이부모가 미취학 아동을 맡겨놓는 탁아방(daycare center)의 느낌. 애완견을 맡겨놓고 어딘가 다녀오는 손님만 있는 건 아니고 자기 개를 풀어놓고 옆에서 음료를 마시며 흐뭇하게 바라보고 앉아있는 손님들도 많다.
    2. 새로운 손님이 자신의 개를 맡기기 위해 가게 문을 열고 들어오는 순간부터 기존의 개들이 갑자기 흥분하기 시작한다. 그러다가 새로운 개가 어느 정도 상황에 익숙해지면 모두 조용해 진다. 신참이 들어온다는 걸 직감적으로 아는 듯.
    3. 이 애견카페의 특징인지도 모르겠지만 의외로 커다란 개들이 많다.
    4. 애견카페는 주로 수요일, 목요일 등 주중에 쉰다. 아마도 주말을 포함해서 애완견을 맡겨주는 일이 많아서 그런 것일 듯.
    5. 의외로 개들이 사람들에게 달려들지 않는다. 모두들 상당히 차분한 느낌. 애견카페를 이용하려면 인원 수대로 음료를 주문해야 하는데 개들이 음료가 놓인 탁자 위에 올라오는 일은 있지만 손님들 음료에 입을 갖다대는 경우는 없다. 심지어 직원들이 개들 보는 앞에서 분식집에서 배달받은 저녁 식사를 해도 전혀 동요하지 않았다. 애견카페에 올 정도의 개들은 클래스가 다른 것일까?
    6. 직원이 테니스공을 던져주니 개들이 너무너무 좋아한다.
    7. 개들이 흘린 침이나 배설물을 직원들이 신속하게 처리해서 불쾌한 냄새가 별로 나지 않는다.
    8. 한 작은 애완견의 경우, 자기를 맡겨놓고 볼일보러 외출했던 주인이 돌아오니 너무너무 좋아한다.
    9. 내가 애완견을 그리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행동패턴의 관찰”이란 맥락에서 굉장히 흥미로운 경험이다. 다른 애견카페도 가봐야겠다.
    ]]>

  • quote: 최동석, 똑똑한 사람들의 멍청한 짓

    “자신이 책임지고 의사결정 내리는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은 어떠한 지위에 있어도 자신이 무슨 일을 해야 할지 모릅니다.” — 최동석 지음, 똑똑한 사람들의 멍청한 짓: 최악의 의사결정을 반복하는 한국의 관료들, 21세기북스, p187
    정홍원 총리가 휴가 중 읽을 책이라는 신문 기사를 보고 알게 된 책. 200년전 강진으로 유배되었던 정약용은 자신의 글 속에서 지방행정조직의 병폐와 말단 공무원 조직의 비리를 개탄한 바 있다. 시간이 지나도 끈질기게 유지되는 관료주의의 병폐의 원인은 무엇인지, 그 단서라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가지고 읽게 되었다. 한국은행에서 오랜 기간 동안 공직사회를 경험하고 독일에서 경영학을 공부한 저자 최동석은 일본으로부터 배운 품의제도가 우리나라 조직 체계가 가진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라고 지적한다. 그외에도 여러가지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는데 속시원한 답변은 아니더라도 의미있는 문제제기를 한 것 같아 유익했다. *저자 최동석의 홈페이지: www.mindprogram.co.kr 및 페이스북 www.facebook.com/dongseok.tschoe]]>

  • 크리스토퍼 드 빙크, 올리버 스토리

    아기를 갖기 원하지만 오랜 시간 임신을 하지 못하거나 유산이 거듭되어 힘들어하는 가정이 있는가 하면 아기가 태어났는데 심각한 장애가 있어 슬픔을 껴안아야 하는 가정도 있다. 이들의 고통은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결코 이해할 수 없다고 한다. 미국의 고등학교 영어 교사였던 크리스토퍼 드 빙크는 보지도 못하고 말을 할 수도 없으며 움직이지도 못하는 심각한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자신의 형에 대한 이야기를 1985년 4월 10일자 월스트리트저널에 Power of the Powerless: A Brother’s Lesson라는 제목으로 기고했다.

    “선생님, 식물인간을 말하는 거죠?” […] “글쎄, 식물인간이라고 부를 수도 있겠지. 하지만 나는 우리 형이라고 불렀다. 여러분이 우리 형에 대해 사랑을 느껴보려고 했다면 좋았을텐데.” — 크리스토퍼 드 빙크 지음, 김동완 옮김, 올리버 스토리, 요단출판사, p32-33
    그의 글은 즉각적으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리더스 다이제스트를 비롯한 여러 매체에 다시 게재되어 널리 감명을 주었다. 그 글을 읽은 독자들 가운데 중증 장애아를 키우는 어려움을 경험한 이들이 편지를 보내 서로의 사연을 공유하게 되면서 그들의 이야기를 한데 묶어 펴낸 것이 “올리버 스토리“(크리스토퍼 드 빙크 지음, 김동완 옮김, 요단출판사)다. 시인이기도 한 저자의 남다른 감수성과 관점이 눈에 보이는 현상 이면에 있는 실체를 더욱 깊이 있게 느끼게 해준다.
    “우리는 스스로 나서서 어떤 의미 있는 기여를 하려 하지 않는다. 우리는 미래를 예측해 보려 하지 않는다. 우리는 다만, 삶을 유지하는 일상적 습관을 세움으로써 삶의 현상에 기여할 뿐이다.” — 같은 책, p203
    나도 누군가의 추천이 없었더라면 결코 읽을 일이 없었을 것만 같은 소박한 표지에 소박한 제목을 달고 있는 책인데 매우 유익하고 소중한 기록이라는 생각이 든다. 매우 추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