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사임을 알리는 편지를 공개한다.
August 24, 2011 Letter from Steve Jobs To the Apple Board of Directors and the Apple Community: I have always said if there ever came a day when I could no longer meet my duties and expectations as Apple’s CEO, I would be the first to let you know. Unfortunately, that day has come. I hereby resign as CEO of Apple. I would like to serve, if the Board sees fit, as Chairman of the Board, director and Apple employee. As far as my successor goes, I strongly recommend that we execute our succession plan and name Tim Cook as CEO of Apple. I believe Apple’s brightest and most innovative days are ahead of it. And I look forward to watching and contributing to its success in a new role. I have made some of the best friends of my life at Apple, and I thank you all for the many years of being able to work alongside you. Steve — from Apple Press Info스티브 잡스가 한 말 대부분이 인상적이지만 나는 특히 이 편지의 첫 문단이 기억에 남는다. 살짝 의역해서 옮기자면 다음과 같다:
저는 제가 애플사의 CEO로서의 직무와 기대되는 역할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는 날이 오게 된다면 다른 어떤 사람의 입을 통해서가 아니라 저 스스로 이를 여러분들께 밝히겠노라 말해왔습니다. 아쉽게도 그 날이 오고야 말았습니다. — 스티브 잡스의 2011년 8월 24일자 편지 중에서개인이나 조직이나,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과 기준이 있다. 그 조건과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할 바에야 (그 역할로서는) 존재할 이유가 없는 그런 하한선이라는 게 있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그 하한선은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적어도 스티브 잡스는 나름대로 그런 기준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나 자신과 내가 소속된 조직의 경우, 자신의 존재를 정당화하는 최소한의 기준과 한계선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최근 어떤 계기가 있어, 우리 회사는 무엇을 하는 회사인지, 그리고 그런 회사로 존재하기 위해서 반드시 지켜야 하는 원칙과 기준은 무엇인지 고민해 보지 않고 오랜 시간을 지내왔음을 새삼 깨닫고 반성하게 되었다. 간혹 당일의 식재료가 신선하지 않아서 메뉴를 제한하거나 일찍 문을 닫는 식당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일정 품질을 만족하지 못한다면 팔지 않겠다는 기준을 지킴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보여주는 것인데 나 자신이나 내가 속한 조직에서도 그런 기준을 찾아내어 지키고 싶다. ]]>
이거 한 번 해보고 싶었음.]]>
출판사는 이 정도면 됐다고 생각해서 시중에 내보낸 것일까? 이 책을 출판한 시드페이퍼에 이메일을 보냈으나
We had Vietnamese noodle for breakfast almost every morning and I loved it especially with the fresh herbs.
We enjoyed iced Vietnamese coffee with sweet, condensed milk after lunch every day. The coffee was thick, strong, and addictive.
There were motorcycles everywhere.
The community had a very good taste in their choice of colors for painting the buildings and the bicycles.
By the last day of our visit, we ran out of the plastic bags for dispensing the medicine. We then decided to use the plastic bottles instead.
]]>
경영학계의 거장인 피터 드러커의 가르침을 조명하면서 동시의 그의 일상의 모습을 살짝 보여준다는 면에서 꽤 흥미로운 책이다. 그리고 언제나 상대방에게 꼭 필요한 말을 직설적으로 명료하게 표현하는 피터 드러커의 명언이 책 곳곳에 인용되어 있다.
닉슨 대통령의 법률보좌관으로서, 목적을 위해서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는 독한 성격의 소유자였던 찰스 콜슨은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감옥에 가게 되고 그 과정에서 하나님을 만나 새로운 인생을 살게 된다. 출소 후 교도소선교회(Prison Fellowship)를 설립, 2012년 작고할 때까지 열정적으로 선교활동에 매진한다. 변호사 출신다운 예리한 관찰력과 수려한 글솜씨로 많은 책을 저술하고 라디오 방송 활동에도 열정적이었다.
그의 여러 저서 중 하나인 “러빙 갓”에서 인상적인 구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