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thoughts

  • tribal norms

    How could you…? (어떻게 그럴 수가 있어!) 일부 서양에서는 서로 눈을 마주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들의 사회적 관습에서 눈맞춤은 상대방의 존재를 인정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반면, 한국에서는 사회적 신분이 높은 사람을 대할 때 가급적 상대방과 눈을 직접 맞추지 않는 것을 존중의 표시로 이해한다. 이런 상이한 관습을 가진 배경의 사람들이 한 자리에 만나게 될 때 서로 오해가 발생하기 쉽다.

    상황 1 미국대학에서 근무하는 서양인 교수와 한국에서 온 유학생이 엘레베이터에서 마주쳤다. 서양인 교수 : (눈을 쳐다보며) Good morning! 한국 유학생 : (시선을 바닥으로 향하며) Hi! 서양인 교수 : (속으로) “아니, 이 자식이 나를 무시하네?” 한국 유학생 : (속으로) “어, 왜 분위기가 갑자기 싸늘해지지?”
    상황2 미국에서 자란 교포 청년이 한국 기업에 취직. 기업 회장과 엘레베이터에서 마주쳤다. 교포 청년 : (눈을 쳐다보며) 안녕하십니까! 기업 회장 : (살짝 곁눈질하며) 음. 그래. 교포 청년 : (계속 상대를 응시한다) 기업 회장 : (속으로) “아니, 이 자식이 건방지게 왜 날 째려보지?” 교포 청년 : (속으로) “어, 왜 분위기가 갑자기 싸늘해지지?”
    문화적 소부족(cultural tribes) 같은 한국 사회 속에서도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소부족(tribes)”이 존재한다. 예컨대 특정 활동이 그들의 삶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이들만의 관습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휴일마다 산에 오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등산족, 밤마다 클럽에 모여 땀을 뻘뻘 흘리며 춤을 추는 것을 삶의 낙으로 여기는 클럽족, 필드에 나가는 날이면 새벽 4시에 일어나도 전혀 피곤하지 않을 수 있는 골프족, 잘 지내냐는 인사보다 요즘 무슨 책이 재미있냐고 묻는 것이 먼저인 독서족 등, 이런 여러 소부족 내에는 자기들만이 공유하는 특이한 관습이 생겨나기 마련. 상대가 자기 부족 소속이 아님을 인지하는 동안은 관습의 충돌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서로 모르는 게 당연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겉으로는 서로 같은 활동을 하더라도 고유한 관습 또는 코드가 대대로 전수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족보(pedigree)”가 다른 경우에 발생한다. 예를 들면 골프를 정통 영국식으로 배운 사람과 동네 연습장에서 시작해서 자기류(流)의 스타일로 필드에 나간 사람은 같은 스코어가 나온다고 하더라도 필드 에티켓에서 현저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서로에 대해 불편하게 여길 수 있다. 이런 “족보”의 배경은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서로 상이한 관습에 대한 오해와 충돌이 더 많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이처럼 문화적 다양성은 형식면에서나 배경면에서 매우 미묘하게 얽혀있다. 교회, 학교, 토론장 등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서는 이런 다양성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오해와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상위규칙(protocol) 내지는 심리적 완충장치(관용)가 필요하다. 우선은 자신이 익숙한 관습과 맞지 않는 타인의 행동에 대해 드러나게 비판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판을 받지 않으려면, 비판하지 마라. 너희가 비판한 그대로 비판을 받을 것이며, 너희가 판단한 기준에 따라 너희도 판단받을 것이다.” — 마태복음 7:1-2 (아가페 쉬운성경)
    한편, 단지 관습의 차이가 아니라 마땅히 바로잡아야 하는 “오류”에 대해서라면 격렬한 비난과 다그침보다는 따뜻하고 부드럽게 길안내를 해주는 것이 낫다.
    “형제자매 여러분, 어떤 사람이 어떤 죄에 빠진 일이 드러나면,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사는 사람인 여러분은 온유한 마음으로 그런 사람을 바로잡아 주고, 자기 스스로를 살펴서,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조심하십시오.” –갈라디아서 6:1 (새번역)
    문화적으로 다른 배경을 가진 이들과 어울리려고 할 때, 서로를 이해하고 싶어도 결코 단시간에는 이해할 수 없는 부분들이 반드시 있다. 예컨대 영국, 러시아,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비교적 생소한 나라에서 오래 살다 온 사람이 습득하고 체화한 고유의 삶의 방식과 관점을 주변 사람들이 충분히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는 어린시절부터 가족 안에서의 버려짐과 동료들 사이에서의 배신과 사회 속에서의 따돌림을 겪고 그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절박한 노력을 통해 현재의 자리에 올라선 입지전적인 인물의 내면 세계와 행동습관의 특이한 점을 상대적으로 평이한 삶을 살아온 주변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결국은 서로 이해할 수 없고, 이해받을 수 없는 자신만의 고유한 영역이 존재함을 각자가 인식하고 이를 감안해서 어울려야 한다.
    “자기를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마십시오. 사람은 저마다 자기 일을 살펴야 합니다. 그러면 자랑할 일이 자기에게만 있을 것입니다. 사람은 저마다 자기 일에 책임을 져야 합니다.” — 갈라디아서 6:4-5 (아가페 쉬운성경)
    – – – 참고: 영화 Shall We Dance (1937) 중에서 서로의 차이점을 어떻게든 넘어가자고 이야기하는 가사 “You Say ‘Tomato’, I say ‘Tomato’…”로 유명한, George and Ira Gershwin 작사작곡, “Let’s Call The Whole Thing Off” 부분을 감상해보자. 현지운 님의 설명과 가사 번역도 참고가 된다. http://www.youtube.com/watch?v=zZ3fjQa5Hls 서로의 차이점을 “그냥 무시하고 넘어가자(let’s call the whole thing off)”고 하는 것은 단기적으로 갈등을 봉합하는 수단은 될 듯 싶다. 서로의 차이점을 깊이 이해하고 서로를 수용하는 데에는 꽤 많은 시간이 걸릴 수도 있으니 이런 단기적 수단이라도 도움은 되겠지. 감기가 낫기 위해 2주 정도가 걸리는데 중간에 너무 힘들면 진통제를 먹는 것처럼 말이다. 더 나은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 그건 뭘까?]]>

  • time for planning

    “우리의 인생이 얼마나 짧은지 깨닫게 해 주소서. 그러면 우리의 마음이 지혜로워질 것입니다.” — 시편90:12 (아가페 쉬운성경) 2015년을 앞두고 대형서점에서는 내년도 다이어리와 플래너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다이어리 제작을 업으로 하는 사람들이라면 시간을 사용하고 기록하는 방법에 대해 나름대로의 통찰과 아이디어를 소비자에게 제안할 법도 한데 아쉽게도 대부분의 제품들이 시간에 대한 기본적인 틀은 그대로 두고 장식적 효과에만 치중한 결과물을 내놓은 점이 눈에 띄었다. 재료(종이와 제본)만 제공할 뿐 소프트웨어와 지적 상상력이 결여된, 대동소이한 뭇 다이어리 제품을 보면서 착잡한 마음이 들었다. 다이어리를 만드는 데 있어서도, 무언가를 예쁘게 만드는 “장식(embellishment)” 수준의 디자인에서 그치지 않고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제시하는(problem-solving) 디자인으로 발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에 대한 고민과 연구와 통찰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예컨대 다음 질문들을 생각해보자.

    1. 일주일의 시작은 월요일인가 일요일인가? 둘 중 하나를 택한다면 어느 쪽을 제안해야 하는가?
    2. 토요일과 일요일에 각각 평일의 1/2씩만 공간을 할애하는 형식은 과연 어떤 사람들에게 적합한가?
    3. 하루 일과는 몇 시에 시작해서 몇 시에 끝나는 것으로 표기해야 하는가?
    4. 하루 일정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은 일을 시작하는 시점인 아침이 좋은가 일과를 마치고 난 저녁이 좋은가?
    5. 야간근무가 많은 직종에 근무하는 이들을 위한 다이어리는 어떻게 달라야 하는가?
    6. 다음 년도 다이어리는 몇 월부터 판매하는 것이 좋은가? 12월에 판매되는 다이어리는 12월부터 일정이 시작되어야 하는가 1월부터 시작되어야 하는가?
    7. 3월 또는 9월에 새 학기가 시작되고 나서야 다이어리를 써야겠다고 마음먹은 이들을 위한 다이어리를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8. 육아에 집중하는 엄마들을 위한 다이어리와, 육아와 직장생활을 병행하는 엄마들을 위한 다이어리는 어떻게 달라야 하는가?
    9. 은퇴한 이들을 위한 다이어리에 필요한 항목은 무엇인가?
    10. 과정을 중시하는 사람과 결과를 중시하는 사람을 위한 다이어리는 어떻게 달라야 하는가? 과거 지향적인 사람과 미래 지향적인 사람의 다이어리는 어떻게 달라야 하는가?
    11. 비교적 규모가 큰 비영리단체에서 정기적으로 기부하는 후원자들을 위한 다이어리나 캘린더를 만들 경우, 기부의 경험을 한 차원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요소로서 어떤 것을 다이어리에 녹여내야 할까?
    12. 대입 수험생과 그 학부모를 위한 다이어리를 짝으로 만든다면? 신혼부부에게 선물로 줄 커플 다이어리를 만든다면? 어떤 내용,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13. 개인의 기록을 공동체의 지적 자산으로 만들려면 다 기록한 다이어리의 후처리를 어떻게 해야 할까? (참고: 디지털 스케치/메모를 몰스킨노트 책자로 만들어주는 Book by fiftythree.com 서비스
    이런저런 다양한 문제에 대한 고민과 나름대로의 해결책을 다이어리에 담아낼 수 있다면 훨씬 큰 의미를 가지고 사회에 기여하는 것이 되지 않을까 싶다. 그 와중에 “모름지기 시간이란 이렇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나름대로의 틀을 제안하는 예가 몇 가지 있다. 우선 이 분야에서는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프랭클린 플래너가 대표적이다. 이보다는 덜 널리 알려졌지만 강규형님이 개발한 3P Binder 시스템도 그 의도와 제안이 훌륭하다. 아마도 이들 선례를 참고로 해서 만들어졌다고 추측되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나름대로의 틀을 제시하는 윈키아 플래너도 눈여겨 볼만 하다. (참고: 허팝의 윈키아 플래너 구입기 동영상) 물론 자신만의 시간 사용 및 기록 노하우가 확립된 이들에게는 다른 사람에 의해 고안된 플래너가 오히려 불편할 수도 있으리라. 어느 쪽이든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을 택해서 시간에 대해 생각하고 기록하는 습관을 갖추는 것이 좋겠다. 한편, 나는 시간의 사용과 기록에 대해 과연 어떤 통찰을 자녀들과 후배들에게 제시하고 제안할 수 있을까? ]]>

  • upcoming: Annual Award 2014

    2014년도 Annual Award는 12월 10일 오전 8시(한국시간)에 발표됩니다. 참고: Annual Award 2013]]>

  • 건강 검진에 관해서

    건강검진 공통 문진표 pdf) 이 문진표는 과거 질병 이력에 대해, 그리고 평소 음주, 흡연, 운동 습관에 대해 스스로 답을 달게 되어 있다.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 누가 묻지라도 않는다면 평소의 생활 습관을 되돌아볼 일조차 없다. 이런 문진표를 통해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유익이 있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이런 질문에 대한 답도 본인이 하기 나름이라서 주관적 인식과 현실 사이에 괴리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 본인의 인식에 의존하기 보다 운동량 측정 장치를 한 달간 차고 다니면서 구체적인 데이타를 수집해서 평가하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결혼한 사람이라면 부부가 함께 문진표 작성에 참여해서 서로에 대한 인식의 격차를 확인해 보는 것도 가정의 건강을 위해 유익할 수 있겠다. 한편으로는 스마트폰과 각종 착용형 장치를 통해 일상 속의 활동 및 건강 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할 수 있는 시대가 된만큼 건강 검진 방식에도 상당한 변화가 오리라 예상된다. (참고: How to Use Apple’s Health App in iOS 8, via PC Mag) 어쨌거나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들여 모처럼 받는 건강 검진인만큼 그 경험과 검진 결과의 전달 방식이 보다 유익하도록 새롭게 디자인되면 좋겠다. – – – 추측하건대 애플워치가 발표되는 2015년 초를 기점으로 건강 데이타를 측정하고 이를 스마트폰과 공유하는 각종 웨어러블 장치가 봇물 터지듯 시중에 출시될 것이 예상된다. 2015년 하반기경에는 이를 활용해서 건강을 모니터링하는 원격의료 서비스도 발표되기 시작하리라 예상한다. 당분간 health informatics 분야가 각광을 받게 될 듯. 참고: 1) Paul Sonnier, Story of Digital Health 동영상 모음 – 차량정보 시스템에 빗대어 건강정보 시스템을 설명하는 부분이 인상적임 2) International Symposium on Healthcare Smart Home 2013 동영상 모음]]>

  • the entitlement trap

    2014년 2월 18일자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실린, Josh Baron과 Rob Lachenauer의 글 “Keep Your Kids Out of the Entitlement Trap“을 흥미롭게 읽었다. 기업인의 자녀들이 은연 중에 특권 의식에 사로잡혀 쓸모없는 존재로 전락하지 않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의 문제를 다룬 짧은 글이다. 이 주제에 대해 더 알고 싶어 “entitlement trap”이란 키워드로 검색해보니 Richard & Linda Eyre 부부가 저술한 The Entitlement Trap: How to Rescue Your Child with a New Family System of Choosing, Earning, and Ownership(2011)이란 육아참고서가 있었다. 마침 “대신 해주고 돌아서서 후회하는 마음 약한 엄마“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있었다.(노지양 옮김, 푸른숲, 2013)

    “미국과 유럽, 선진국 대다수 나라의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자격증은 너무 빨리 내주고 책임감은 너무 늦게 주어, 본의 아니게 부모와 자녀 모두를 최악의 상황으로 내몬다. 오늘날의 부모들은 아이들이 정신적으로, 사회적으로 여물기도 전에 너무 많은 것을 허락한다. 그와 동시에 부모들(그리고 그들을 둘러싼 사회)은 아이들에게 특권 의식이란 것도 선물하는데, 이것이 책임감 있는 어른으로 성장하게끔 돕는 의무감과 주인 의식을 회피하게 한다.” — 리처드 & 린다 에어 지음, 노지양 옮김, “대신 해주고 돌아서서 후회하는 마음 약한 엄마“, 푸른숲, p13
    이 책은 책임감 있는 자녀들로 기르기 위한 건전한 관점과 함께 실질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정말로 특권 의식은 아이들에게 덫이다. 특권 의식의 커다란 아귀가 아이들을 꽉 물고 옴짝달싹 못하게 한다! 이 덫이 특히 위험한 이유는 아이들의 자주성과 성취감을 저해하고, 자기중심적인 태도를 부추기고, 결과에 대한 바람직한 두려움을 가로막기 때문이다. 특권 의식 때문에 아이들은 자신이 먹고 입고 사는 것은 세상이 나를 위해 당연히 해주는 것이라 여기며, 노력과 결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지 못한다. — 같은 책, p30
    번역도 매끄럽게 잘 되어있다. 추천. ]]>

  • let it snow

    홍대입구역 앞에 모던하우스에서 만든 Butter 라는 매장이 생겼다. 위 사진은 크리스마스 장식 소품인 작은 snow globe(우리나라에서는 워터볼 또는 스노우볼이라고 부른다). (온라인 판매가 4900원)

    “버터는 일본 도쿄의 캐릭터 스트리트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으며 일본 캐릭터 시장은 이미 11조원 규모로 성장해 있는 상태입니다. 버터는 일본의 캐릭터 스트리트가 국내에서는 특정 연령층에 국한될 것이라 판단하고 다년 간의 고객조사를 통해 전 연령대를 아우를 수 있는 유럽형 캐릭터들을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국내 캐릭터 상품들이 펜시에 집중되어 있어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해 전반적인 생활용품을 취급하는 라이프 스타일 샵의 형태로 설계하게 되었다는군요.” — 이랜드그룹 공식 블로그, 2013년 8월 15일자 포스팅, “이랜드, 국내 최초 캐릭터 SPA “버터” 론칭
    ]]>

  • 추천 동영상: 이시형 박사 강연

    평생 現役 이시형, ‘미련한 한국인’에 건강 話頭를 던지다“, 조선일보 2010년 4월 17일자 기사 ]]>

  • assortment

    요즘 들고 다니는 펜과 공책. 말로만 듣던 Lamy Joy(사진 중앙)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과연 좋구나. Rotring Calligraphy Pen와 비교해서 잉크의 끊김이 훨씬 적고 종이와 닿는 펜촉 끝부분이 꺼끌거리지 않고 부드럽다. 크라프트지로 된 공책은 흰색펜을 쓸 수 있어서 좋다.]]>

  • quote: 폴 슈피겔만, 브릿 베렛, 환자는 두 번째다

    환자는 두 번째다(청년의사)가 그런 책. (원서 제목: Patients Come Second) 이 책을 쓴 사람은 의료관련 지원서비스(병원전문 콜센터)를 제공하는 BerylHealth의 공동설립자인 Paul Spiegelman과 댈러스에 위치한 Texas Health Presbyterian Hospital에서 운영책임을 맡은 바 있는 Britt Berrett. 의료기관의 고객경험 디자인과 조직리더십을 다루는 이 책은 Amazon.com에서 독자들의 평가가 꽤 높은 편이다.

    “환자들은 의료진과 대화하면서 긴장하고 흥분한다. 자신의 취약성을 여실히 드러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런 심정을 고려할 때, 감사 편지는 둘째 치고, 누군가 다가와 인사를 건넨다거나 짬을 내서 자신의 안위를 걱정해 주는 것만으로도 환자는 실제 치료를 받는 것 이상으로 좋은 경험을 지니게 된다. 여기에 들어 있는 역설적 상황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의료업계는 아무도 손님으로 오고 싶어 하지 않는 비즈니스다!” — 폴 슈피겔만, 브릿 베렛 지음, 김인수 옮김, 환자는 두 번째다, 청년의사, pp23-24
    이 책의 제목이 뜻하는 바는 환자보다 직원에 먼저 촛점을 맞추라는 이야기다. 참고: Beryl Berrett의 Patients Come Second 강연 동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UXCfXGNre2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