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thoughts

  • 사양의 문법

    日本人と韓国人のおどろきマナーブック(일본인과 한국인의 깜짝 놀랄 매너북, p25)에서 한국의 대접 관습에 관한 글을 읽었다.

    조선시대에 귀족계급에 해당하는 양반이 타지역을 방문하는 경우 주막 같은 곳 외에는 마땅히 묵을 곳이 없으니 그 지역의 유지가 그 일행을 자기 집에 초대해서 융숭하게 대접하는, 양반들 사이에 통하는 관습이 있었다고 한다.

    여기서 초대를 받는 사람 측에서는 일단 사양을 하는 것이 예의라는 것. 한쪽은 초대하고, 다른 쪽은 사양하는 형식을 통해 서로의 자존심과 체면을 세워주게 된다고. 말하자면 다음과 같은 주고받음이 일어나는 셈이다:

    양반 1: “누추하지만 저희 집에서 쉬고 가시지요”

    양반 2: “아닙니다. 괜찮습니다.”

    양반 1: “이미 준비를 해놓았습니다. 저희 집에 모시겠습니다.”

    양반 2: “아닙니다. 괘념치 마십시오.”

    양반 1: “그러지 마시고 오시라니까요”

    양반 2: “허허, 이것 참. 그럼 하룻밤 신세를 지겠습니다.”

    초대하는 측에서는 귀찮은 일이기도 하지만 자기 집에 모시려고 하고, 달리 갈 곳이 없는 상황에서 지역 유지가 초대해 준다는데 고맙긴 하지만 일단 사양을 하는 이들은 이미 암묵적으로 합의된 교전 규칙(rules of engagement)에 따라 각자가 해야하는 대사를 읊고 있는 듯하다.

    오늘날의 사회에서도 이런 식의 주고 받음을 종종 목격하는데 나는 그런 모습이 무척이나 어색하게 느껴진다. 나는 가능하면 상대방의 말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고 상대를 믿어주려고 애쓰는 버릇이 있어서 누가 나에게 무언가를 권하면 이를 순수한 호의로 받아들여 덥썩 받고, 내가 무언가를 남에게 권했을 때 그가 괜찮다고 하면 정말 싫은가보다라고 해석해서 곧바로 거둬들이고 만다.

    지금 생각해 보면 나의 그런 단순한 행동이 전통적 관점에서는 얼마나 교양없는 모습으로 보였을까 싶기도 한데 쉽게 고쳐질 수 있을 것 같지 않다. 매번 상대방의 진의는 과연 무엇일까 해석하려고 고민하는 것도 피곤한 일이니까 말이다.

    그만큼 사양이란 미묘한 문법을 요구한다. 영어에서는 “사양”에 해당하는 단어를 찾기가 쉽지 않은 걸 보면 사양이란 동양 특유의 문화적 관습인지도.

    이런 문화적 맥락에서 볼 때 “축의금/화환은 정중히 사절합니다”라는 문구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난감하다. ‘체면상 보내는 것이라면 보내지 마시고 사절한다고 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진심으로 보내고 싶으시다면 어쩔 수 없이 받겠다’라는 의미일까? 어쨌거나 나는 상대가 항상 진실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생각하려고 한다.

  • 허미니아 아이바라, 마침내 내 일을 찾았다

    Herminia Ibarra 교수가 지은 Working Identity: Unconventional Strategies for Reinventing Your Career 라는 책이 괜찮다는 이야기를 십여년 전에 듣고 그 동안 읽어보려고 여러 차례 시도해 보았으나 도무지 진행이 되지 않았는데 감사하게도 최근에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허미니아 아이바라 지음, 유정식 옮김,『마침내 내 일을 찾았다: 변화에 성공한 39명의 자기혁명 스토리』, (새로운현재 펴냄) 원제 Working Identity를 옮기기가 쉽지 않았을 텐데 “마침내 내 일을 찾았다”라는, 책 내용을 잘 살린 제목을 뽑아낸 것도 대단하다. 자기에게 진정으로 맞는 직업이 무엇일까 고민만 하지 말고 관심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일들을 조금씩이라도 실제로 접해보면서 실증적으로 파악해 보라는 이야기 이 책의 핵심이다.]]>

  • quote: 마스다 무네아키, 라이프스타일을 팔다

    “나는 직원들에게 항상 이렇게 강조한다. 정리와 정돈, 메인터넌스 이 세 가지 일 외에 사무실에서 해야할 일은 없다고.” — 마스다 무네아키 지음, 백인수 옮김, 라이프스타일을 팔다: 다이칸야마 프로젝트, 베가북스, p18
    음반, 비디오, 도서를 판매, 대여하면서 심야영업을 하는 Tsutaya 서점 프랜차이즈를 거느린 Culture Convenience Club의 대표 마스다 무네아키(増田 宗昭, 1951년생). 이 책은 그가 도쿄 시내 다이칸야마(代官山) 지역에 T-Site라는 문화공간 설립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이 프로젝트의 기획 취지를 엮어 책으로 출판한 것이다. “나는 앞으로 이런 일을 벌이려고 하는데 그 이유는 이렇다”라는 식의, 일종의 선언서 같은 책이다. 프로젝트가 완결되지도 않은 시점에서 프로젝트 기획 취지서를 책으로 출간한다는 대담함이 놀랍다. (이 책은 2011년 5월에 출간. T-Site는 2011년 여름 개관 예정이었는데 일정이 미뤄져 그 해 12월에 개관했다.) 참고: Bo Sim님의 “도쿄 다이칸야마 T-SITE 리뷰” 포스팅 ]]>

  • 이강룡 지음, 번역자를 위한 우리말 공부 (3)

    Leadership is An Art에서 조직의 붕괴조짐 중 하나로 모국어에 대한 존중심을 잃는 것(“A loss of the respect for the English language”, pp111-112)을 꼽았다. 다시 말해 탁월한 조직이 갖추어야 할 덕목 중 하나가 언어를 소중히 여기는 것이라는 뜻이다. 이강룡 지음, 『번역자를 위한 우리말 공부』 (유유)는 번역자를 염두에 두고 쓴 책이지만 “한국어를 잘 이해하고 제대로 표현하는 법”이라는 부제에 나타난 것처럼, 번역자가 아니더라도 더욱 명료한 표현으로 우리말을 구사하는데 도움이 되는 안내서다. 특히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주의깊게 생각하지 못한 띄어쓰기나 문장 부호에 대한 꼼꼼한 안내는 미국 문법서의 고전으로 사랑받고 있는 William Strunk, E. B. White 지음, The Elements of Style을 연상시킨다. 우리의 것이라 생각하고 항상 애용하는 ‘한글’의 실체를 새롭게 발견하고 이해하도록 도와준 노마 히데키 지음, 김진아,김기연,박수진 공역, 『한글의 탄생』 처럼, 이 책은 우리가 익숙하게 잘 쓰고 있다고 생각하고는 있지만 실제로는 그저 편한대로 사용해 온 우리말, 특히 글로 표현된 우리말이 얼마나 더 품격있는 모습으로 바뀔 수 있는지를 볼 수 있게 해주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자신의 번역 수준, 나아가 언어에 대한 이해 수준이 상당히 형편없었음을 반성하게 되었다. 동시에 번역이란 꽤 매력있는 작업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다시 번역 기회가 주어진다면 더욱 진지하게 임해야겠다. 저자가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린 소소한 이야기도 재미있다. 추천.]]>

  • tongue in cheek

    라이프넷 생명보험회사의 사장겸 COO 이와세 다이스케(岩瀬大輔)씨는 최근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글 때문에 논란에 휩싸였다. 1976년생인 이와세 사장은 동경대 법대를 나와 하버드 비즈니스스쿨을 상위 5%의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 보스턴컨설팅그룹을 거쳐 온라인전문 보험회사를 창업한 엄친아로 일본에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4월 1일자 포스팅에 신입사원에게 권하고 싶은 내용이라고 하면서 매일 정식 출근시간보다 30분 일찍, 똑바른 몸가짐으로 출근해서 신문을 탐독하는 습관을 유지한다면 사내에서 신뢰할만한 인재로 인정받을 수 있으리라는 취지의 글을 올렸다. 그런데 상당 수의 독자들이 이에 대해 실질적으로 시간외근무를 강요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비판을 쏟아냈다. 이러한 논란에 대해 그는 4월 3일자 포스팅에 “내가 적은 것은 본심이 아니었다. 글을 올린 날짜가 만우절 아니겠냐? 신입사원이라면 정시 출근하면 되고 신문따위는 읽을 필요도 없고 선배 직원들의 신뢰를 얻으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된다.”라고 적었다. 이어 그는 일찍 출근하는 것은 시간낭비이며 혹시라도 늦는다면 회의참가자들과 고객들에게 기다려 달라고 하면 된다고 적었다. 그런데 이 글에 대해서도 비판이 쏟아졌다. 그가 자신의 4월 1일자 포스팅 내용을 문제삼은 이들을 겨냥해 비아냥거리는(tongue-in-cheek) 태도로 글을 적은 것이라 받아들여진 것이다. 결국 4월 4일자 블로그 포스팅에 자신이 전날 비꼬듯이 올린 내용 때문에 불쾌하게 생각한 이들에게 사과하면서 4월 3일자 해당 포스팅을 삭제하는 것으로 상황을 마무리했다. 첫 날 이야기한 그의 진심–일찍 출근해서 일간신문을 미리 보며 하루를 준비하는 것–은 조직에 대한 충성심, 근면성, 성실함의 가치를 떠받드는 일본인의 전통적 가치관에 비추어보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이야기라 생각된다. 아마도 처세술 서적의 저자가 같은 말을 했다면 그러려니하고 넘어갈 수 있었으리라. (사실 그는 이런 취지의 처세술 책을 낸 바 있다.) 그러나 조직을 대표하는 사장이 그런 말을 남긴 것은 신입사원들에게는 마치 회사의 방침처럼 들릴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 것이다. 혹자는 그가 첫 날 글에 대한 일부 독자들의 비판을 비꼬는 말투로 항변한, 지금은 삭제된 4월 3일자 포스팅이 더 문제라고 보기도 한다. 일부 독자들의 비판에 대해 비아냥거리는 말투로 항변한 글을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도록 블로그에 공개한 것은 저자 스스로 자신의 품위를 손상시킨, 우스꽝스러운 행동이라는 것이다.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자리에 오르게 되면 불가피하게 이런 저런 공격을 받기 마련이다. 그러한 공격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느냐 자체가 그의 리더십을 시험하는 관문이 된다. 상대의 비난에 대해 “그러는 너는 얼마나 잘 났느냐?”라고 감정적으로 응수하는 것은 그다지 성숙한 모습으로 보이지 않는다. 상대방의 진지한 공격을 비아냥거림으로 받아넘기는 반응도 씁쓸한 여운을 남긴다–이와세 사장의 반응이 이 경우에 해당된다. 이와세 사장은 4월 4일자 포스팅을 다음과 같이 마무리짓는다. “앞으로는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는 진중한 표현을 사용하도록 유념하면서 블로그를 계속 써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사건을 보면서 특히 리더의 위치에 있는 사람은 진심을 표현하기가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를 실감하게 되었다. – – – * 참고로 이와세 사장이 근무하는 라이프넷 생명보험회사의 직원 수는 90여명이고 2014년도 신입사원은 4명이다. 이 중 대졸 신입사원은 1명. 이 정도라면 이와세 사장의 블로그 포스팅은 몇 명 안 되는 신입사원 각 사람을 겨냥해 개인적으로 편지를 써서 준 것이나 마찬가지 효과가 아니었을까? 아마도 이들은 회사의 사장이 올린 글을 읽고 ’30분 일찍 출근해야 하나보다’라고 생각했으리라 짐작이 드는데 이 블로그 포스팅을 두고 일이 이렇게 크게 벌어졌으니 과연 그들은 앞으로 몇 시에 출근해야 할까? 혼자 생각이지만 사장에 대한 충성심과 그의 상처입은 마음을 위로하는 뜻을 담아 정시보다 한 시간 앞당겨 출근하지 않을까 싶다. ** 한편으로는 이와세 사장이 어린 시절을 영국에서 보냈다는 사실에 비추어보면 지금은 삭제된 4월 3일자 포스팅에서 그가 의도했던 것은 뒤틀린 심보의 비아냥거림이라기 보다는 영국 문화에 익숙한 그의 의식을 기준으로 했을 때에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수준의 유머였을지도 모른다. (영국식 유머에서는 반어법 irony과 비꼬는 표현sarcasm이 훨씬 빈번하게 사용된다고 한다.) 다만 예의와 체면을 중시하는 일본인들에게 그런 다크 유머가 좋게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인지도. 참고: 영국식 유머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글]]>

  • quote: 한병철, 투명사회

    “더 많은 정보와 커뮤니케이션만으로 세계가 밝혀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투명성으로 눈이 환해지는 것도 아니다. 진리는 대량의 정보에서 나오지 않는다. 대량의 정보는 어둠에 빛을 비추어주지 못한다.” —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투명사회, 문학과 지성사, pp197-198
    “우울증은 무엇보다도 나르시시즘적인 질병이다. 우울증을 낳는 것은 병적일 정도로 극단적인 자기중심적 태도다. 나르시시즘적 우울증의 주체는 자기 목소리의 반향 밖에는 듣지 못한다. 그러한 주체는 어떤 면에서는 자기 자신을 보여주는 것에서밖에는 아무런 의미도 발견하지 못한다. 그에게 세계는 자아가 드리운 그림자 속에서만 모습을 드러낸다. 결국 그는 자기 자신에 의해 소진되고 녹초가 되어, 자기 속에서 익사하고 만다.” —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투명사회, 문학과 지성사, p198
    (*G. K. Chesterton이 그의 책 Orthodoxy에서 이와 비슷한 취지의 이야기를 한 바 있다. 자기 자신에게 매몰된 사람은 정신병에 걸린다고.)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확대에 따른 사회의 변화를 깊은 통찰을 가지고 조명한 책. 간혹 지나친 일반화와 과장이 느껴지는 그의 표현에 모두 동의하는 바는 아니지만 새로운 관점에서 기술의 트렌드를 바라볼 수 있도록 생각을 자극한다. 추천.]]>

  • 수동 공격성에서 벗어나기

    수동 공격성(passive aggressive behavior)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부모들이 자신들의 갈등 때문에 독단적이거나 공격적이면 자녀들이 정상적인 자기주장을 표현할 수 없게 되어 분노를 비뚤어진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즉, 겉으로는 공손하고 양보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무능함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자신들의 억압자를 응징하는 방법을 습득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백과
    일단 삶에 대해 수동 공격적 태도를 가지게 되면 싫은 감정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지도 못하고 주어진 상황을 온전히 수용하지도 못하게 되어 정신적으로 헤어나오기 어려운 외식의 늪에 빠지게 된다. (왠지 학습된 무기력과도 닮은 듯하다.)
    “환자는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지 못할 때 적개심의 표현방법으로 수동적인 형태를 취합니다. 예를 들면 의도적으로 게으름을 피우거나, 눈에 보이지 않게 훼방을 하거나, 옹고집을 부리거나 비능률적으로 행동하는 등의 교묘한 수단을 사용합니다. 이들은 자신의 능력에 알맞은 일을 요구해도 저항을 잘 하며 맡은 업무가 지연된 데 대해서는 핑계만 찾으려 하므로 사회생활에서도 성공하기가 어렵습니다.”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백과
    이런 양상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몇 가지 의견이 있다.
    “역동적 심리학에서는 정신적인 결함이 전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성격을 갖게 되는 것은 당사자가 성장할 때 상당기간 화목하지 못한 가정 분위기를 경험했거나, 보호자들의 보살핌을 제대로 받지 못 했거나, 또는 지나치게 엄격하고 요구조건이 많았던 부모 아래에서 늘 억압감을 느끼며 살았기 때문에 평소 자기의 생각이나 주장을 자유스럽게 표현하지 못한 데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 강기호, 호주 한인카운셀링연구소, 시드니 코리아헤럴드 2009년 7월 23일자 기사
    수동 공격성은 자신의 인생을 통째로 낭비하도록 만들고 남도 괴롭히는 심각한 재앙이다. 성경에 등장하는 “한 달란트 받은 종”이 수동 공격성의 표본이다.
    “한 달란트 받았던 자는 와서 이르되 주인이여 당신은 굳은 사람이라 심지 않은 데서 거두고 헤치지 않은 데서 모으는 줄을 내가 알았으므로 두려워하여 나가서 당신의 달란트를 땅에 감추어 두었었나이다 보소서 당신의 것을 가지셨나이다” — 마태복음 25:24-25
    다뤄지지 않은 수동 공격성은 때로 자학적 선택을 하게 만든다. 예컨대 부모가 골라준 배우자와 억지로 결혼하거나 부모가 강요한 전공학과를 선택하면서 “내가 불행해지는 모습을 지켜보시는 느낌이 어떨지 한번 경험해 보세요”라고 생각하며 마음 속에 쓴뿌리를 간직하는 경우. 또는 “이런 회사는 빨리 망해야 해!”라고 속으로 저주하면서도 부도덕하거나 비효율적인 조직 속에 계속 머물러 있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이런 불행한 수동 공격성의 늪에서 헤어나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몇 가지 방안을 생각해 보았다. (정신의학적 근거는 전혀 없음을 밝혀둔다)
    1. 거부의사를 분명하게 표시하라 – 좋으면 좋다고, 싫으면 싫다고 말한다. 이에 따르는 사회적 비난이나 관계의 단절을 각오해야 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상대방이 “너가 어떻게 그럴 수 있어?”라고 말하더라도 “나는 그럴 수 있어!”라고 뻔뻔하게 맞설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물론 예의를 갖추어 정중하게 표현해야 한다. (한편, 직장인으로서 당당하게 거부의사를 표현할 수 있으려면 실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실력도 없으면서 싫다고만 이야기하면 자기 수준에 맞는 다른 직장을 찾아봐야 하는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다–이것이 꼭 나쁜 일은 아니지만.)
    2. 대안을 제시하고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라 –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싫은 상황에 대해 혼자서 태업(sabotage) 계획을 세우지 말고 대안을 제시하면서 상대방의 동의를 적극적으로 구해야 한다. “나는 그런 거 말고 이런 게 하고 싶은데 어떤가요? 괜찮은가요?”라고 물어야 한다. 상대가 동의할 수 있을 때까지 계속 다른 대안을 제시하라.
    3. 숨을 곳을 없애라 – 수동 공격성의 무기는 진실을 은닉하는 것(covertness)이다. 숨을 수 있는 온갖 방어막을 거둬내고 진실을 드러내야만 수동 공격성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 무표정함과 과묵함의 가면, 모범생이라는 이미지가 주는 보호막, 바쁘다는 핑계 등을 거둬내고 자신의 취약성을 노출시켜야 한다. “말 안하면 모르겠지”라고 생각하면서 속으로 욕하는 습관부터 없애야 한다. “정 안 되면 회사를 그만 두거나 이민이라도 가야겠다”라고 생각하며 몰래 위안을 삼는 심리적 도피처(asylum) 또한 궁극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
    ]]>

  • 규모의 차별화 – 구성 요소의 내용이 평범하더라도 그 규모가 압도적으로 커진다면 하나의 차별화 요소가 될 수 있다. 일용품(commodity)을 대량으로 취급하는 창고형 할인점이나 중국의 인민군이 펼친 인해전술이 예가 될 수 있다. 평범한 개인이나 조직은 자신의 울타리를 넘어 다른 개인 및 조직과 상호교류의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 규칙의 차별화 – 구성원이 조직 내에서 지켜야 하는 기본 규칙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차별화된 조직 경쟁력이 생겨날 수 있다. 오합지졸이라도 아무렇게나 서있지 않고 대오를 갖추어 진형을 이루어 서는 편이 나은 것이다. 개별적으로는 나약해 보이는 일개미도 위치 이동과 식량 채집에 있어 기본 규칙을 지키는 것을 통해 조직의 생존을 유지할 수 있다. 특별한 재능이 없는 개인도 오랜 시간에 걸쳐 엄격한 자기통제(self-discipline)를 꾸준히 유지할 수 있다면 장기적인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
  • 태도의 차별화 – 자신이 무언가를 잘 한다고 생각하는 자신감이 지나치게 오래 지속되면 오히려 그런 자신감이 그 사람의 발전을 저해하기 쉽다. 남달리 잘 하는 게 없는 개인과 조직은 오히려 겸손한 자세로 상황을 차분하게 관찰하면서 기회를 엿볼 수 있다. 섣불리 나서기 보다는 조용히 기다리다가 다른 이들의 실수를 통해 살아남는 법을 택하는 것이다.
  • “슬기로운 자는 재앙을 보면 숨어 피하여도 어리석은 자는 나가다가 해를 받느니라. 겸손과 여호와를 경외함의 보상은 재물과 영광과 생명이니라” – 잠언 22장 3-4절
    ]]>

  • recent readings (Mar-April 2014)

  • 공병호 지음, 공병호의 성경공부
  • 이재철 지음, 사명자반
  • 이재철 지음, 성숙자반
  • Rev. Robert A Sirico and Jeff Sandefer, A Field Guide for the Hero’s Journey
  • John Dickson, Humilitas: A Lost Key to Life, Love, and Leadership
  • Erwin Rafael McManus, The Artisan Soul: Crafting Your Life into a Work of Art
  • Larry Crabb, Connecting: Healing Ourselves and Our Relationships
  • Gregg A. Ten Elshof, I Told Me So
  • ]]>

  • reward of achievement

    “나는 세상에서 또 다른 것을 보았다. 빠르다고 해서 달리기에서 이기는 것은 아니며, 용사라고 해서 전쟁에서 이기는 것도 아니더라. 지혜가 있다고 해서 먹을 것이 생기는 것도 아니며, 총명하다고 해서 재물을 모으는 것도 아니며, 배웠다고 해서 늘 잘되는 것도 아니더라. 불행한 때와 재난은 누구에게나 닥친다.” – 전도서 9장 11절 (새번역 성경) 학업성취도가 안정된 경제생활을 보장해주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