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 중에 한숨 돌리기 위해 차를 한 잔 마시는 것과 누군가를 만나 차 한 잔 하는 것은 마시는 행위는 비슷하지만 맥락이 크게 다르다.
혼자 마실 때는 어떻게 하든 상관이 없겠지만 다른 사람과 교제를 하는 맥락에서 차를 마실 때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형식과 작법(作法: 일정한 규칙)이 존재한다. 그런데 이런 작법은 문화권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일본, 중국, 영국, 한국 모두 차를 마시지만 차를 둘러싼 행동 규칙과 형식이 저마다 다르다. 심지어 찻잔을 드는 방식에도 각자의 특징이 존재한다. 예컨대 일본은 전통적으로 찻잔을 두 손으로 들어올리고, 영국은 한 손으로는 찻받침을 들고 다른 손으로는 찻잔을 드는 것이 매너라고 한다. 그런데 이런 규칙은 해당 문화에 살아보지 않으면 좀처럼 알기 어렵다.
그러나 문화를 막론하고 대체로 “차 대접”이라는 형식의 공통점은 각자 알아서 타먹는 게 아니라 누군가 다른 사람이 타준다는 것이 그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카페에서는 바리스타가 그 일을 대신 해준다.)
그러니까 차 대접을 하면서 “알아서 내려드세요”, “커피는 셀프”하고 하면 일반적인 맥락에서는 굉장히 어색해진다. 식후에 식당에서 마시는 자판기 커피라고 할지라도 누군가가 받아서 쟁반에 갖다주면 그 느낌이 사뭇 다른 것이다.
“남이 타주는 행위”가 차 대접의 핵심이라고 한다면 대접 받는 사람이 특별히 유의해야 하는 점이 한 가지 있다. 그것은 차를 타서 내주는 사람의 행동 그 자체에 대해 감사의 마음을 가지는 한편 차의 맛에 대해서는 문제 삼지 말아야 한다는 것. 물론 특별히 맛있는 차를 대접받는다면 그 점에 대해 찬사를 아끼지 말아야하지만 혹시라도 차가 입맛에 맞지 않더라도 차의 맛이 핵심이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