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umn looks different depending on where you are. The following pictures are impressions of Autumn seen from Andong in early November. 가을은 어디에서 감상하느냐에 따라 느낌이 다르다. 아래의 사진은 11월초 안동에서 찍은 가을의 인상이다.
Autumn leaves. 낙엽이라는 것까지는 알겠는데 무슨 나무의 잎인지 알 수가 없다.

“전통 기와 지붕에 매달린 메주”를 영어로 뭐라고 해야 할까? 한국 고유의 정취를 외국어로 표현하는데 본래 한계가 있는 것일까 아니면 나의 영어 실력이 부족한 것일까?

대추. 두바이 공항에서 지역 특산물이라고 설탕에 절인 대추를 많이 팔고 있었던 것이 기억나는데 외국 대추나무(학명:Phoenix dactylifera)의 사진을 보니 내가 어렸을 때 봤던 대추나무와 전혀 다르게 생겼다. 중동의 대추는 dates라고 하고 우리나라의 대추(학명:Ziziphus zizyphus)는 jujube 또는 Chinese/Korean dates라고 하는 듯. 이 둘이 열매는 서로 비슷하게 생겼지만 사실은 다른 종류라는 거 처음 알았다.

해바라기(sunflower)꽃이 열매로 바뀐 상태를 영어로는 뭐라고 할까? 해바라기는 학명으로 Helianthus annuus라고 한다. Wikipedia에 의하면 해바라기씨의 최대 생산국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라고. (해바라기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국화(國花)임) 그러고 보니 Sophia Loren이 주연한 Vittorio De Sica 감독의 1970년 작품 “해바라기(Sunflower)”의 배경이 우크라이나였다. 해바라기는 애당초 멕시코 지역에서 유래했다고 하는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지방에 해바라기가 그토록 많이 재배되는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 그리고 네덜란드 사람인 빈센트 반 고흐가 해바라기 그림을 그렇게 열심히 그린 것은 무슨 이유 때문일까? 해바라기씨의 배열과 피보나치수열의 관계는? 해바라기 하나만 가지고도 공부할 내용이 엄청나게 많다.

“벼”는 영어로 뭐라고 해야하나? 벼도 쌀도 둘 다 rice인가?

Ginkgo leaves. Notice the spelling. It is “Ginkgo”, not “Gingko”. 은행나무를 영어로 쓸 때 철자가 독특하다는 거 처음 알았다. 이거 틀리기 너무 쉬울 듯.

무슨 꽃인지 모르겠다. 왠지 느낌에 daisy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daisy를 키워드로 해서 구글 이미지 검색으로 나온 사진과 비슷한 듯. Daisy는 우리말로 뭐라고 할까? 국화과에 속한 식물이니 “국화의 일종”이라고 부르면 되는 걸까?

단풍은 도대체 영어로 뭐라고 할까? 누군가는 이를 maple leaves라고 한다는데 캐나다를 상징하는 그 maple leaves와는 좀 다르게 생겼다. 이런 단풍은 Wikipedia에 의하면 학명으로는 Acer palmatum, 일반적으로는 Japanese Maple 또는Smooth Japanese Maple이라고 부른다고. 동해를 Sea of Japan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에 비하면 식물명에 대해서는 관대하다고 해야 하나? 그런데 더 검색해보니 Korean Maple은 따로 있다고 하네. 학명으로는 Acer pseudosieboldianum. 사진으로 봐서는 Japanese maple과 Korean maple이 구분이 잘 안 간다. 일본 단풍나무와 한국 단풍나무는 어떻게 구분하는 걸까? 이런 궁금증 때문에 더 검색해봤더니 단풍나무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서 약 110종에 이른다고한다. 식물학은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이라는 생각이 든다.

꽈리는 영어로 뭐라고 할까? Wikipedia에 의하면 학명으로는 Physalis alkekengi, 그 외에 일반적으로 Bladder cherry, Chinese lantern, Japanese lantern, or Winter cherry 등으로 불린다고. 그러나 이런 학문적 분류나 명칭보다 꽈리열매를 따서 이런 저런 놀이를 하던 어린 시절의 추억이 꽈리의 핵심이 아닐까 싶다. 먹지는 못하지만 재미있는 열매. 이런 종류의 식물을 toy plant라고 부르면 어떨까?

감(persimmon). 나는 감을 좋아하지 않아서 잘 몰랐었는데 딱딱한 감을 단감(떫은감)이라고 하고 잘 익어서 연해진 감을 홍시 또는 연시(무른감)라고 부른다고. 이름부터 쉽지 않구나. 손봉호 교수의 수필 “잠깐 쉬었다가“에서 저자의 어린시절의 추억에서 감나무가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해 정성스럽게 적은 것이 인상깊었다.


You need enough time to test the projector beforehand for a perfect show. Blurry screen gives the audience an excuse to doze off during the presentation. 슬라이드쇼를 제대로 하려면 프로젝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일찌감치 나와서 확인해야 합니다. 화면이 흐릿하게 보이면 집중하기 어렵습니다.
Proper kind of chairs do matter. 의자도 제대로 된 것을 써야죠.
Notepad and pen or pencil do help as well. People often forget to bring their writing device. 공책이나 연필, 펜 등을 갖추는 것도 중요합니다. 필기구를 가져오지 않는 사람도 종종 있으니까요.
Wireless microphones should be easy to turn on and turn off. Water bottles should be easy to open. Glasses should be clean and spotless. The name plate should be legible from a certain distance. The names should be spelled correctly. 무선 마이크의 작동이 어려우면 곤란하죠. 음료수 병마개도 쉽게 열리는지 확인해 보세요. 유리잔은 물론 깨끗해야겠고 명패에 쓰인 글씨는 멀리서도 눈에 보여야 합니다. 이름 철자가 틀리지는 않았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보세요.
Fine dining should be served with careful attention to details. If your dish does not come while others start to eat, it can make you feel pretty nervous. Also, remember there are people who do not eat meat, wine,
Refreshments are needed during breaks. 쉬는 시간에는 간단한 간식거리를 준비하세요.
And a right kind of doorstop can help a lot. Really. 뭐 그런 거 가지고 그러냐 하실지 몰라도 행사를 치르다보면 문고정장치 같이 사소한 물건도 제대로 작동한다는 사실이 얼마나 중요한지 모릅니다.` – – – 행사 한번 치르는데 신경써야 할 곳도 많고 일손이 많이 필요하다보니 한참 급할 때는 같이 일하는 사람이 한 명 있고 없고가 차이가 많이 난다. 성경 누가복음 10장 38-42절에서 마르다라는 여인이 집에서 손님을 치르는데 마리아라는 이름의 동생은 도와주지도 않고 손님과 같이 앉아 있어서 언니로서 하소연을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한편으로는 그녀의 마음이 이해가 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