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thoughts

  • problem of scaling

    규모의 패러독스

    [요점] 규모가 커질 경우 적용되는 규칙이 달라진다.

    최근 한 레스토랑에서 메뉴판에 사용할 사진 촬영을 해달라고 나에게 부탁했다. 보통 인스타그램용으로 찍는 개별 음식 사진과는 달리 메뉴판에 올라갈 30-40장의 사진은 전체적인 통일성과 일관성을 위해 구도와 조명 등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어느 정도의 규모가 있는 작업은 1-2개 사진 촬영과는 다른 조건을 요구한다는 것을 이번 기회에 경험했다. 취미 삼아 1-2장 찍는 것은 부담없이 즐길 수 있지만 일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30-40장의 사진을 찍는 것은 무척 힘든 일이었다.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를 겪으면서, 개인 위생과 공중보건 사이에는 규모의 차이가 존재하며 그 규모의 차이 때문에 적용되는 규칙이 다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즉, 국지적인 개인 위생 차원에서는 합리적인 선택이 공중 보건 차원에서는 꼭 그렇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어떤 문제의 규모가 10배, 100배, 1000배, … 올라갈 때마다 주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이 각각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개인 차원에서의 심각한 문제는 전체 규모 차원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문제로 여겨지지 않거나, 개인 차원에서는 별일 아닌 사소한 문제가 전체 규모 차원에서는 심각하게 다뤄지는 규모의 비대칭성이 발생할 수 있다.

    왜 그런 것인지 설명이 쉽지는 않지만 대충 그렇다. 설명이 어려운 이유는 복잡성(complexity)의 발현 때문이다. 특히 전염병처럼 네트워크 효과를 가지는 체계는 더 복잡하다.

    정부 차원에서 모임을 자제하며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라는 지침을 내리는 것은 군집 단위를 소규모로 유지하여 복잡성이 커지는 사태를 막으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키워드: #전염 #전파력 #복잡성 #scaling #규모 #네트워크 #희석효과

    참고 (앞으로 읽으려고 하는 글들):

    1. Robert I. Sutton, “Scaling: The Problem of More” (HBR.org)
    2. William M.K. Trochim, “General Issues in Scaling” (Research Methods Knowledge Base)
    3. 제프리 웨스트 지음, 이한은 옮김, “스케일: 생물, 도시, 기업의 성장과 죽음에 대한 보편 법칙” (김영사 2018)
  • 멸균 사회

    Sterilized Society

    학교 졸업식과 입학식이 취소되고, 개학이 연기되고, 각종 모임이 중단되는 등, 우리는 판데믹의 영향으로 사회적 유대관계에 국내외적으로 브레이크가 걸리는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다시 말해 공중보건 이슈가 사회적으로 어떤 파급효과를 낳는지 체험할 수 있는 기간을 통과하는 중이다.

    2020년 이후의 한국 사회는 어떻게 바뀌어 있을까를 대충 예상해 보았다.

    1. 강화된 공중 보건 기준에 대한 기대가 사회적 디폴트로 자리잡는다. 이 기준을 따라오지 못하는 서비스업은 점차 주도권을 잃고 주변으로 밀려난다.
    2. 일회용 마스크, 알콜 소독, 일회용 장갑, 비접촉식 매체 등이 보편화되지만 자연친화성이 낮은 기존 제품과 방식을 대체하는 새로운 디자인이 등장한다.
    3. 비대면 진료가 합법화되는 길이 생긴다. 애플 워치의 심전도 기능과 같은 디지털 진료 방식이 늘어난다.
    4. 택배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면서 산업 비효율을 줄이기 위해 택배 서비스 업계의 공통 표준이 생겨난다.
    5. 재택 근무, 재택 수업 등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과 학교가 늘어난다.
    6. 사회가 아직 경험해 보지 못한 성격의 불확실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리더 단독의 결정도 곤란하고 다수결에 의한 의사결정 방식도 적절치 않은 경우가 있다. 이때 조직을 대표해 행동 기준을 세우거나 의사결정을 할 책임을 부여받은 소그룹을 미리 위임해 두는 위기 관리 운영 방식이 자리잡는다.
    7. 공중보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여겨지는 개인이나 단체에 대해 공공연하게 거리를 두는 기피 행동을 용인하는 분위기가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공권력에 의한 강제 격리”를 바람직한 것으로 여기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된다.
    8. 이런 움직임은 한편으로는 지나친 면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해로운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 예컨대 사회적 접촉 기회가 감소하면서 이로 인한 정서적 결핍 때문에 정신상담 서비스 수요가 증가한다.

    인공적인 멸균 상태가 과연 바람직할까? 보다 유기적이고 자연적인 면역성이 길러지고 건강한 접촉이 유지되는 사회를 위한 능동적인 설계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지만 구체적으로 그것이 어떤 모습일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 투명사회

    아래 이미지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의 상세 이동경로가 공개되는 사례 중 하나다:

    출처: 염태영 수원시장 페이스북 (2020년 2월 23일 오후 4시 26분 확인)

    이런 정보가 공유되는 양상을 보면서 드는 생각:

    1. 나처럼 기억력이 나쁜 사람은 지난 이틀간 동선을 생각해 내려면 무척 고역이겠다.
    2. 한편, 휴대폰 정보, 신용카드 사용 기록, 그리고 폐쇄회로 카메라 영상 자료를 조합하면 개인의 삶을 꽤 정밀하게 그려내는 것이 가능하다. 재독 철학자 한병철이 말한 투명사회가 더 가까워지고 있음을 실감한다.
    3. 개인의 필요에 의해 이런 서비스를 자발적으로 요청하는 경우도 가능하겠다. 예컨대 기억력 장애가 있거나, 자신의 알리바이를 제출해야 하거나, 아니면 단순히 취미로. (사실, 나한테 필요함.)
    4. 개인위생을 철저히 해도 자기 의사와 상관없이 전염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겠다. 어디를 가고 안 가고 보다 마지막 접점인 손과 코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5. 누군가에 의해 무작위적으로 전염이 되는 수준에 이른 것을 말하는 “지역사회 감염” 상태가 되면 이런 개인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것은 점차 무의미해질 듯.
    6. “격리(quarantine)”이라는 단어가 일상화되어간다. 어떤 이유에서든 격리 상태에 처한 사람을 위한 각종 서비스가 새로 개발될지도. 예컨대 격리전용 호텔, 격리 보험특약, 원격근무용 통신서비스와 장비대여, 원격의료진단 서비스, 비접촉 택배 서비스, 음압 격리형 택시 등.

  • [poem] Ask Me

    파커 J. 팔머의 책에는 시가 자주 인용된다. 다음은 오늘 읽은 그의 책 <<삶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홍윤주 옮김, 한문화, 2001)에서 언급된 윌리엄 스태퍼드(1914-1993)의 시 Ask Me.

    Ask Me
    William Stafford

    Some time when the river is ice ask me
    mistakes I have made. Ask me whether
    what I have done is my life. Others
    have come in their slow way into
    my thought, and some have tried to help
    or to hurt: ask me what difference
    their strongest love or hate has made.

    I will listen to what you say.
    You and I can turn and look
    at the silent river and wait. We know
    the current is there, hidden; and there
    are comings and goings from miles away
    that hold the stillness exactly before us.
    What the river says, that is what I say.
  • [인용] 모든 것의 가장자리에서

    올리버 웬들 홈즈가 말했듯이, 많은 사람은 “자기의 모든 음악을 자기 안에 품고 죽는다.” 내가 그 슬픈 운명으로부터 구원받을 수 있었던 것은, 젊었을 때 내개 손을 뻗어 나만의 음악을 발견하고 그것을 연주하는 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준 여러 멘토 덕분이다. 이제 나는 그 선물을 자기 노래가 들려지기를 기다리는 다음 세대에게 넘겨줄 차례다.

    — 파커 J. 팔머 지음, <<모든 것의 가장자리에서>>, 김찬호, 정하린 옮김(글항아리, 2018), p57

    Oliver Wendell Holmes(1809-1894)의 시 The Voiceless 전문은 아래와 같다. (위 글에서 인용된 문장을 굵게 표시했음):

    The Voiceless
    Oliver Wendell Holmes

    WE count the broken lyres that rest
    Where the sweet wailing singers slumber,
    But o’er their silent sister’s breast
    The wild-flowers who will stoop to number?
    A few can touch the magic string,
    And noisy Fame is proud to win them:
    Alas for those that never sing,
    But die with all their music in them!

    Nay, grieve not for the dead alone
    Whose song has told their hearts’ sad story,
    Weep for the voiceless, who have known
    The cross without the crown of glory!
    Not where Leucadian breezes sweep
    O’er Sappho’s memory-haunted billow,
    But where the glistening night-dews weep
    On nameless sorrow’s churchyard pillow.

    O hearts that break and give no sign
    Save whitening lip and fading tresses,
    Till Death pours out his longed-for wine
    Slow-dropped from Misery’s crushing presses,
    If singing breath or echoing chord
    To every hidden pang were given,
    What endless melodies were poured,
    As sad as earth, as sweet as heaven!

    이번에 알게 된 것인데, 위의 시를 쓴 사람의 아들이 올리버 웬들 홈스 2세로서 미국 연방 대법관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 카페 서비스에 대한 생각

    마음이 위축된 사람은 남달리 예민하다. 혹은 자신의 약함에 대해 민감하기 때문에 위축되는 것일수도 있다.

    서비스의 사소한 차이를 확인하고 검증하는 역할에는 이렇게 센서가 예민하게 발달한 사람이 적합하다. 그러나 약간은 방어적이고 까다로운 성격 때문에 함께 일하는 과정이 조심스러울 수 있다.

    카페의 물리적 환경은 상대적으로 쉽게 개선할 수 있는 반면 서비스업에서 요구되는 섬세하고 미묘한 행동의 특징을 일정 품질로 유지하고 개선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렵다.

    과연 “단정하고도 편안한 응대”를 어떻게 프로그램화 할 수 있을까? “품위있는 고객”에 상응하는 “품격있는 서비스”란 어떻게 구현되는 것일까? 진상 고객에게 휘둘리지 않을 수 있는 당당함과 일반 고객을 주눅들지 않게 만드는 상냥함은 어떻게 조화될 수 있을까?

    서비스의 주체가 되는 직원 개개인의 특징을 바꾸기란 무척 어렵다. 어떤 사람은 눈빛, 숨소리, 목소리의 음색, 혹은 걸음을 걷는 모습만으로도 보는 사람에게 은연 중에 불안감을 선사한다. 그리고 이런 행동 특징은 쉽게 교정되지 않는다. 그런 사람이 서비스 직종에 근무하는 자체가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간혹 본인 스스로는 그 점을 모르는 채 열심히 업무에 매진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고 동료가 그 점을 지적하기도 무척 껄끄럽다. 인건비를 아끼려고 가게 주인이 직접 나서는 경우 이런 부조화가 고착되기도 한다. 어쨌거나 본인 스스로는 무엇이 문제인지 알기 어렵다는 것이 핵심이다.

  • “인구 감소 사회는 위험하다는 착각”

    “그러나 일본이라는 곳은 과거 시대를 선도한 주역을 언제까지나 대접해주는 미적지근한 곳이었다.”

    구마 겐고. (우치다 타츠루 편, <<인구감소는 위험하다는 착각>>, 김영주 옮김(위즈덤하우스 2019), 189.)

    일본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건축가 중 한 명인 구마 겐고가 사무라이의 역사를 빗대어 일본의 건축업을 정치와 결탁하여 겨우 목숨을 이어가는, 한물간 존재로 폄하하는 표현을 주저없이 써내려간 부분이 무척 인상적이다. 일본 문화에서 전형적으로 볼 수 있는 ‘다른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기 위해 돌려서 점잖게 표현하는 조심스런 태도’는 오간데 없고 매우 직설적으로 말해버리는 태도가 무척 낯설다.

    마치 자신이 올라서 있는 사다리에 불을 지르는 듯한 무모함은 절박한 시대 인식에서 비롯된 것일까 아니면 이 사람 성격이 원래 이렇게 과감한 것일까?

    결국 구마 겐고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건축가로 대표되는 전문가 집단이 ‘자신의 존재 자체를 미학의 대상으로 삼아 경직되고 화석화하는 경향’에 경종을 울리는 것이다. 건축가가 스스로를 예술가로 생각하면서 고상한 척 하지 말고 ‘생계와 밥벌이’라는 현실로 내려와 상업성과 실용성을 포용하라는 이야기다.

    어떻게 보면 조선시대에 유교의 경직성에서 벗어나 실용성을 추구한 실학자의 태도와도 비슷하다. 또한 자신이 성직자이면서도 교회에서 주는 지원금에 기대지 않고 스스로 노동을 통해 번 돈으로 선교 활동을 이어간 바울의 태도도 연상된다.

  • [인용]Saving Leonardo

    “여기서 정치를 지배하는 힘이 사업에서 이데올로기로 변했음을 알 수 있다. 영문학과로 진격했던 이들이 이제 백악관에 있는데, 그들은 대학에서 배운 급진적 세속주의 이데올로기들도 함께 가져갔다. 이것은 현 대통령이 퇴임한 이후에도 오랫동안 이어질 흐름이다. 현대사회는 지식기반 사회로서, 정보와 전문 기술이 경제적 자원으로 대단히 중요하다. 지식의 자격을 갖춘 것이 무엇인지 규정할 권위를 가진 사람들이 가장 큰 권력을 휘두른다.”

    낸시 피어시 지음, <<세이빙 다빈치>>(원제: Saving Leonardo), 홍종락 옮김, 복있는사람, 2015), 33.

  • [인용] 혼자 불쬐고 있지 말고 자신을 불태워라

    “우리는─일단 기초를 잡고 나면─다른 모든 것들을 자기 자신과 연결 짓고, 기억을 활용해서 독창적인 사고를 끌어내고, 다른 사람이 말한 것을 시작점, 자양분을 공급하고 키워내야 할 씨앗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서로) 격려해야 합니다. 정신을 무언가로 채워 넣어야 할 그릇으로 보는 것은 올바른 은유가 아닙니다. 그보다는 점화시켜야 할 나무이고 점점 창의성을 추구하게 하고 진실에 대한 욕망을 일깨우는 것입니다.”
    “만약에 누군가가 이웃에게 불을 얻으러 갔다면 거기서 충분한 불씨를 찾아야 하는데 그냥 거기에 계속 머무르면서 자신의 몸만 따뜻하게 하고 있다고 생각해 보라. 이것은 누군가가 자신의 이성을 끌어내기 위해 다른 사람을 찾아가서는 자신만의 불꽃을 태우고 자신의 지성을 활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그저 강의실에 들어가서 앉아만 있는 데 행복해하는 것과 같다. 언어는 단지 그 언어에 연관된 생각만 유발하며 그 자체로 그의 뺨에 홍조를 띠게 하고 몸을 달아오르게 하지만 철학의 온화함 속에서도 그의 지성의 어둠침침함을 걷어내지 못한다.”

    플루타르크 /다음 책에서 인용: 앤티 헌트 지음, <<실용주의 사고와 학습>>, 박영록 옮김(위키북스, 2010), 157.

    무척 인상깊은 구절이어서 영어로는 어떻게 번역되어 있을까 궁금해서 찾아보았다.

    “The correct analogy for the mind is not a vessel that needs filling, but wood that needs igniting — no more — and then it motivates one towards originality and instills the desire for truth.

    Suppose someone were to go and ask his neighbors for fire and find a substantial blaze there, and just stay there continually warming himself: that is no different from someone who goes to someone else to get to some of his rationality, and fails to realize that he ought to ignite his own flame, his own intellect, but is happy to sit entranced by the lecture, and the words trigger only associative thinking and bring, as it were, only a flush to his cheeks and a glow to his limbs; but he has not dispelled or dispersed, in the warm light of philosophy, the internal dank gloom of his mind.”

    Plutarch / via Gurteen Knowledge Website

  • Books of the Year 2019

    Barack ObamaBill Gates 같은 저명인사들이 대놓고 책읽기를 장려하는 이유가 뭘까 궁금하다. 서양 문화에서 책읽기라는 행동, 그리고 책읽기에 대해 언급하는 행동이 그들 사회에서 어떤 의미와 상징성을 가지는 것일까?

    마치 한중일 전통 문화에서 새해가 되면 아이들에게 작은 용돈을 주는 것이 어른들에게 기대되는 행동인 것처럼, 서양에서는 이따금씩 독서 문화를 기리는(celebrate)하는 제스쳐를 취하는 것이 그들의 사회에서 리더나 “배운 사람”에게 기대되는 덕목 중 하나인 것일까?

    어쨌거나 올해는 Annual Award를 쓰기 않기로 했지만 2019년도에 특별히 기억에 남는 책 정도는 기록해 두는 것이 나 자신에게도 유익할 것 같아서 짧게 아래와 같이 정리했다.

    1. 토마스 제퍼슨의 위대한 교육 (A Thomas Jefferson Education)

    올리버 드밀(Oliver DeMille)이 쓰고 김성웅이 번역한 책 (꿈을이루는사람들 2010). 현대 사회 구조에서 교육이 가지는 기능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 줘서 눈이 번쩍 뜨이는 책이었다.

    이 책을 읽게 된 경위는 Acton Academy의 교장인 Laura Sandefer 가 쓴 Courage to Grow: How Acton Academy Turns Learning Upside Down라는 책에 언급된 추천 도서 목록 중에서 골라 읽게 된 것이다.

    이 책에서는 교육을 크게 (1) 리더십 교육, (2) 전문가 교육, (3) 시민 교육(공교육) 세 종류로 나눴는데, 내가 나 자신을 “전문가”로 규정하고 스스로 “전문가 교육”을 꾸준히 추구한 반면 리더십 교육은 상당히 등한시해 왔음을 깨닫고 반성했다. 이 책은 리더십 교육을 위해 멘토와 고전 읽기를 강조하고 있어서, 기존의 실용서 위주의 독서에서 고전 읽기로 관심을 살짝 돌려야 겠다고 생각했다.

    2. When the Game Stands Tall

    스포트 전문 기자 Neil Hayes가 쓴 When the Game Stands Tall 은 Bob Ladouceur 라는 코치가 이끄는 미국 De La Salle 고등학교 미식 축구팀의 실화를 다룬 책이다. 이 팀은 무려 151경기 연속 승리라는 고교 미식축구팀으로서 무지막지한 기록을 세웠는데 그 배경의 이야기가 무척 흥미롭다. 나는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전혀 없는 사람이지만 이 책은 리더십에 대해 깊은 감명을 줬다.

    같은 제목의 영화로도 나왔고, 국내에는 “151경기“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는데 극화 과정에서 스토리는 살짝 각색되었다.

    3. 욕망해도 괜찮아

    <<욕망해도 괜찮아>>(창비 2012)는 김두식 경북대 법학과 교수가 쓴 책인데 저자의 문장이 재미있고 내용이 치열할 정도로 솔직해서 이 책을 읽고 나서 같은 저자의 책을 5권을 연달아 읽었다.

    이 책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욕망을 가지고 있는데 그런 욕망을 과도하게 억제하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 특히 욕망을 누리는 사람을 잡아 죽이지 못해 안달하는 경향이 있음을 지적하면서, 자신의 욕망을 인정하는 편이 차라리 낫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그리스도 예수의 사람들은 육체와 함께 그 정과 욕심을 십자가에 못 박았느니라”(갈라디아서 5:24 개역한글)라는 말씀대로 정과 욕심이 정말 십자가에 못 박혀 죽었다면 나았겠지만, 그러지 않고 정과 욕심을 살려둔 채로 몰래 숨겨놓고 마치 그런 정욕과 탐심이 없는 것처럼 겉모습을 치장하려니 부작용이 오히려 커진다고 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외에 재미있게 읽은 책

    • 이정선, <<내 문장이 그렇게 이상한가요?>> (유유, 2016) – 문장을 다듬는 요령에 관한 책인데 미국의 고전 William Strunk Jr. & E. B. White의 The Elements of Style 을 연상시킬 정도로 유용했다.
    • 이용찬, <<이 공식을 모르면 PT 하지 마라>> (마일스톤, 2018) – 기존의 프레젠테이션 서적 대다수가 시각적 디자인에 집중했다면 이 책은 설득을 목적으로 한 상황을 어떻게 설계할 것이냐 하는 문제를 다뤘다는 면에서 독보적이다.
    • 블레이크 스나이더 지음, 이태선 옮김, <<Save the Cat! : 모든 영화 시나리오에 숨겨진 비밀>> (비즈앤비즈, 2015) – 50편에 달하는 영화 줄거리를 짧게 요약한 책인데, 스토리텔링 공부에 매우 유익했다.
    • Malcolm Gladwell, Talking to Strangers – 문화적 경계 너머의 타인을 이해한다는 것이 가진 복잡성과 난해함을 다룬 책. 오디오북으로 들으면 더 흥미진진하다.
    • Daniel Coyle, The Culture Code – 조직 문화에서 구성원이 소속감—“나는 이곳에서 안전하다”라는 느낌—을 가지는 것이 중요함을 이야기한 책. 책 서문에서 소개하는 “스파게티 타워 챌린지”를 다른 모임에서 잘 활용해서 좋았고, 뉴욕의 레스토랑 기업인 대니 마이어의 일화가 무척 인상 깊었다.
    • Carlo Rovelli, The Order of Time – 시간에 대한 물리학적 관점을 이야기하는 책인데 무슨 말인지 거의 이해 못하지만 마치 생소한 나라(예컨대 핀란드?)에 관광 여행을 다녀온 것처럼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특히 “지금(now)”이라는 개념은 국지적으로만 의미가 있는 개념이라는 이야기가 기억에 남는다.
    • Amaryllis Fox, Life Undercover – 저자 자신이 젊은 시절 CIA 요원으로서 활동했던 경험을 기록한 자서전. (보안 상의 이유로 내용이 각색되었다.) 자신의 신분을 숨기고 국제적으로 첩보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과 고민이 인상적이었다.
    • Kate Bowler, Everything Happens for a Reason – 번영주의 교회를 연구하는 교회사 교수인 저자가 암에 걸리면서 느낀 신앙과 현실의 아이러니를 적은 책.
    • Jordan B. Peterson, 12 Rules for Life – 임상심리학자의 인생 철학서. 저자가 직접 읽은 오디오북으로 들어서 더 흥미로웠다.
    • David Brooks, The Second Mountain – 유대인 출신으로서 기독교 교육을 받으며 자란 무신론자인 저자가 이혼을 경험하고 자신의 인생을 반성하면서 성공과 성취 이후의 새로운 가치를 찾아가는 이야기다.
    • Albert-Laszlo Barabasi, The Formula – 복잡계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저자가 성공한 사람들의 통계학적 특징을 재미있게 풀어낸 책. 특히 예술 분야에서의 명성은 실력 보다는 인맥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이야기가 인상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