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세를 살펴보는 자는 파종하지 못할 것이요 구름만 바라보는 자는 거두지 못하리라” (Whoever watches the wind will not plant; whoever looks at the clouds will not reap.) — 전도서 11:4 (개정개역/NIV) 위의 구절에서 풍세와 구름은 외부 환경을 가리킨다. 세상이 흘러가는 흐름 또는 트렌드에 대한 어느 정도의 예측은 의사결정에 있어 참고가 된다. 그러나 인간이 어떻게 할 수 없는 불확실성 그 자체에 집착하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우유부단함의 함정(indecision loop)에 빠져 정말 아무 것도 못하게 된다. 예컨대 10월 둘 째 주에 체육대회를 개최하기로 했다면 그날 비가 오든 안 오든 일단 체육대회를 여는 것으로 전제하고 계획을 추진해야 한다. 대회 개최를 전제로 하고 그날 비가 올 경우의 대비를 세워야 하는 것이지, 혹시 비가 올지 모른다는 걱정에 계획 추진 자체를 망설이고 있으면 안 되는 것이다. 이와 연관된 몇 가지 생각들:
- 거의 확정적인 것을 불확실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은 곤란하다: KTX 출발 시간이 12:05로 되어 있으면 그런 줄 알고 시간 맞춰서 역에 나가는 것이 맞다. 열차는 대체로 시간을 잘 지키는 편이다.
- 불확실성이 내재된 약속은 확인 단계를 추가하라: 분명히 회의에 참석하겠다고 약속을 했는데 나타나지 않는 사람이 간혹 생긴다. 일부러 그런 것이 아니라 깜박 잊어버렸거나 시간과 장소를 착각해서 그런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참석하겠다는 약속은 “의도”다. 이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회의 전날에 확인 전화나 문자 메시지를 보내라.
- 근본적으로 불확실한 것에서 확실한 경향을 찾아내려는 시도는 무모하다: 효율적 시장 가설에 의하면 주식 시장의 단기적 흐름은 본질적으로 예측할 수 없다. 특정 주식이 오를 것 같다는 직감을 스스로 믿어버리는 것은 망상이다.
- 확정적인 것과 불확실성을 구분하라: 사람은 반드시 죽는다. 그리고 죽을 때는 아무 것도 저 세상에 가지고 갈 수 없다. 이건 확정적인 사실이다. 다만 언제 어떻게 죽을지, 누가 먼저 죽을지는 알 수 없는 것이다.
- 해야하는 일이 있다면 먼저 스케줄을 정하고 나서 외부 변수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라: 제품 개발과 마찬가지로 시간의 설계에 있어서도 일단 프로토타입으로서의 계획을 세워보고 나중에 수정하는 편이 일의 진척이 빨라진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