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営業がダサいから家電は「花柄ウルトラマン」になる”에서는 일본 가전제품 디자인의 품격이 떨어지는 이유를 진단하고 있다. 이 글에서 인터뷰 대상이 된 일본의 산업디자인 회사 Design Studio S 대표 시바타 후미에(柴田文江)씨는 그 이유로 영업직 사원의 생각에 문제가 있다고 꼬집는다. 즉, 매장에서 물건이 팔리기 위해서는 화려한 문양, 반짝이고 번쩍거리는 장식과 같이 조금이라도 더 눈에 띄는 요소를 가미해야 한다고 영업직 사원들이 강하게 주장하는 데서 문제가 생긴다는 이야기다. 직업인으로서 자신의 성과를 “매출”로 인식하는 한 “팔리는 시점에서의 단기적 효과”에 집착하기 쉬울 수 밖에 없다는 진단이다. 일단 팔아치우고 보자라는 매출 우선의 사고방식을 가진 대다수의 영업직 사원에게서는 제품 자체에 대한 애정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하는데 돌이켜 생각해 보면 자기 중심적 사고에 매몰된 영업 담당자의 전형적인 태도는 가전제품 뿐만 아니라 보험상품이나 금융상품 판매 등에서도 관찰된다. “이번 달 매출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데 보험 한 개만 가입해달라”는 식의 접근을 하는 경우가 없지 않은 것이 이런 맥락이다. 이런 식의 영업 마인드로는 고객의 진정한 관심사와 필요에 맞는 제품을 공들여 선정해서 판매하기 보다는 판매자 입장에서 먼저 팔아치우고 싶은 물건부터 떠넘기게 될 가능성이 높다. 즉, 영업 중심의 사고방식 때문에 디자인의 품격이 떨어지는 문제는 제품 디자인 뿐만 아니라 서비스 디자인에도 적용이 된다는 이야기다. 위의 기사에서는 이런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제품 개발 프로젝트 단계에서부터 영업 직원을 참여시키는 안을 제시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영업직원들이 매출 중심의 사고방식에서 좀 더 넓은 시야를 가지고 제품을 대하도록 만들 수 있으리라 기대하는 듯 하다. (일단 연재 기사라서 이번 글에서는 여기까지만 다루고 있으니 다음 번 기사에서 어떻게 이야기를 전개할지 두고 봐야겠다.) 다른 한편, 제조업 기술 수준과 산업디자인 감각이 남다른 일본에서 자국 제품의 디자인 수준을 반성하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는 뭘까? 경제적 침체를 오래 겪으면서 디자인 투자를 소홀히 한 결과일까? 아니면 일본 국민의 디자인 안목이 국제화되면서 자국의 디자인 수준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게 된 까닭일까? 아니면 자국의 디자인 역량을 자동차와 모바일 기기 등에 집중시키는 바람에 냉장고, 전제렌지, 밥솥으로 대표되는 저성장 가전 제품군에는 상대적으로 경영진의 관심이 멀어져서 일까? ]]>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