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et 본문 중에 나오는 “painfully quiet”이라는 표현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나도 말 수가 적은 편이지만 ‘고통스러울 정도’라고는 생각해 본 적이 없었는데 얼마나 심하면 그렇게 표현했을까 싶어서다. 몇 년 전, 아이들 학교 숙제의 일환으로 몇 가정이 어울려 여행을 갔다. 그 중 한 집의 아버지가 말 수가 매우 적었다. 그 이후에도 뵌 적이 있는데 일관되게 조용하셨다. 질문을 드리면 질문에 대한 답변만 말씀하시고는 그 다음에 대화가 잘 이어지지 않았다. 뭔가 주고 받는 맛이 있어야 할텐데 대화가 뚝뚝 끊어지는 느낌이 아쉬웠다. 그분을 보면서, 너무 말이 없으면 주변 사람들이 답답해 괴로울 수도 있겠다는 느낌이 오면서 수전 케인이 말한 painfully quiet이라는 게 이런 건가 싶었다 동시에 나도 그러면 어쩌나 하는 반성을 하게 되었다. 기왕에 조용할 거라면 주변 사람들이 편안함을 느끼도록 하는 조용함이면 좋을텐데, 침묵이 적막으로 느껴지면 곤란한 것이다. 돌이켜보면 내성적인데다가 자의식이 많고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것에 대한 고민이 어렸을 때부터 있었다. 중학생 때 우리 집으로 심방을 오신 여자 전도사님께서 기도 제목이 뭔지, 혹시 고민거리가 있는지 물어보셨을 때 말을 잘 못해서 고민이라고 말씀드린 기억이 있다. 이에 대해 말을 잘 하려고 하기 보다 꼭 필요한 말을 하면 된다고 일러주셨던 것 같다. 타고난 기질은 잘 변하지 않는다더니 나이 들어서도 대화력은 그다지 늘지 않았다. 말을 요령있게 잘 하지 못할 바에야 차라리 남의 이야기를 잘 경청하는 쪽으로 집중하기로 했다. 한편, 경청하는 자세는 좋았으나 기억력이 나빠 들은 내용을 거의 기억하지 못한다는 건 큰 아쉬움이었다. 다른 사람과 편안한 대화를 이끌어 가는 사람들을 보면 크게 두 부류로 나눠진다. 한 부류는 이야기할 거리가 풍부한 사람이고, 다른 한 부류는 상대방에 대해 적절한 추임새를 언제 넣어야 하는지에 대한 감각이 뛰어난 사람이다. 굳이 표현하자면 전자는 명사와 동사에 집중하고, 후자는 감탄사와 형용사와 부사에 집중하는 유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두 부류 A, B가 대화를 시작하면 아주 활기있어 진다. A: 이번 휴가 때 친구들과 오사카에 다녀왔어요. B: 와 대단하네요! 오사카 멋진데요! 좋았겠어요! A: 네. 료칸에 묵으면서 온천에도 가고 장어덮밥도 먹고… B: 와. 죽이네요! 온천 진짜 좋았겠다. 역시… 내성적인 사람은 마음 속에 의문사가 많은 편이다. 왜 그런 걸까? 인과관계는 어떻게 되는 걸까? 등의 의혹과 질문이 속에서 뱅뱅 돌고 있는 경우가 많다. 내성적인 C가 있었다면 아마도 이런 상황: A: 이번 휴가 때 친구들과 오사카에 다녀왔어요. C: 아, 그래요? (왜 하필 일본에?) A: 휴가는 어떻게 보내셨어요? C: 저는 가족들이랑 속초에… (뭘 했더라?) B: 속초 좋죠! 회도 드시고 그랬겠네요? C: 네… (난 회 별로였지만) 고통스러울 정도로 조용한 자신의 상황을 타개해 보고 싶다면 적절한 추임새의 기술을 대화의 도구로 생각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일차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내성적인 사람은 패턴 인식에 대한 감각이 뛰어난 경우가 있으므로 대화를 잘 하는 이들의 추임새 패턴을 보고 그걸 흉내내는 전략을 취하면 될 것이다. 즉, 굳이 할 말이 없더라도 상대방으로 하여금 이야기를 계속할 수 있도록 간헐적인 피드백을 던지는 거다. 예컨대 다음과 같이.
오 그래요? 대단하네요. 정말요? 와. 그래서요? 진짜요? 대박. 역시. 그거 아무나 못하는 건데. 멋져요. 저도 해보고 싶네요. 저런. 안타깝네요. 그럴 수도 있죠. 맞아요. 저라도 그랬을 거예요. 알아요. 저도 공감해요. 계속 듣고 싶어지네요. 더 듣지 못해서 아쉽네요. 다음에 또 들려주세요. 정말 기대되요.보다시피 아무런 내용이 없다. 하지만 추임새의 역할이라는 게 원래 그런 거다. 물론 가식적으로 보이면 안 된다. 내가 너무 말이 없으면 상대방이 답답해서 고통을 느낄 수 있으니 그걸 방지하려는 최선의 의도를 가지고 이런 추임새를 활용하면 진정성이 전달될 것이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