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경세유표(經世遺表)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한 것은?
- 조선의 학자 이원익이 쓴, 조선 최초의 경제학 교과서에 해당되는 작품이다.
- 조선의 실학자 정약용이 저술한, 정치행정 개혁안을 제시한 책이다.
- 조선의 역술가 홍계관이 남긴, 정치적 내용이 담긴 예언서다.
- 조선 후기 실학자 이긍익이 기록한, 조선 왕실 중심의 역사연구서다.
사진 출처: korearoot.net
‘경세유표’가 쓰인 것은 1808-1817년이다. 그로부터 약 100년이 지난 시점인 1914년에 조선의 이건방(李建芳, 1861-1939)이라는 인물이 ‘경세유표’ 증보판을 발행하면서 책의 서문을 방례초본 서(邦禮艸本序)라는 제목으로 썼는데 이 또한 매우 읽어볼만한 글이다. 100년전의 인물이 당시의 시대적 현실과 지나온 역사를 어떻게 이해하고 반성했는지 엿볼 수 있다.
“그런데 세상이 쇠퇴하고 도의가 망해져서 선왕(先王)의 전장(典章)과 법도가 다 찢기고 없어지니, 임금된 자는 천하를 자기 한 몸의 사사로운 물건인 양 여긴다. 대저 천하는 큰 물건이요, 천하의 이(利)는 큰 이인데, 이것을 제가 오로지 하고자 생각하므로 진실로 천하 사람을 위엄으로 협박하고 통절하게 억제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리하여 제 요령껏 혹독한 형벌을 제정하여 천하를 호령하면서, 그것을 법이라 하였다. 이 법이라는 것은 한 사람의 사리(私利)하려는 마음에서 나온 것이요, 하늘의 질과 서가 아니었다.” — 이건방(李建芳, 1861-1939)이 1914년에 ‘경세유표’ 증보판을 발행하면서 덧붙인 서문 “방례초본 서(邦禮艸本序)” 중에서 인용]]>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