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책이 너무 많이 쌓이면 그만큼 지적 생산의 유통이 정체된다. 사람 몸으로 치면 혈액순환이 나빠진다. 피가 막힘없이 흐르도록 하려면 현재 자신에게 있어 신선도가 떨어지는 책은 일단 손에서 놓는 편이 낫다.”
— 오카자키 다케시 지음, 정수윤 옮김, 장서의 괴로움, 정은문고, p31
이 책은 가지고 있는 책이 너무 많아 어려움을 겪는 이야기를 적은 에세이다.
물건이 너무 많으면 어지간히 치워도 표가 나지 않는다. 저자는 가지고 있던 책 중에서 2천권을 헌책방에 팔아넘겼음에도 불구하고 서고 풍경에 전혀 변함이 없음을 보고 어이가 없어 다음과 같이 적는다.
“그때 깨달았다. ‘대체 당신 집에는 책이 몇 권이나 있는 겁니까?’라는 질문은 정원에 잡초가 몇 포기나 있느냐는 질문과 같이 엉뚱하고 답변 불가능하다는 것을.”
— 같은 책, p31
책은 분명히 유한한 개체이고 하나 둘 세어 나가다 보면 반드시 구체적인 숫자가 나오는 물건인데도 불구하고 책을 많이 가진 사람들은 자신이 몇 권의 책을 가지고 있는지 모른다는 불편한 진실. 도대체 왜 그런 것일까?
정작 자신은 엄청나게 많은 장서를 보유하면서 저자는 5백 권 정도로 장서를 제한하는 안을 하나의 대안으로 언급한다. 마치 현실적이지 않은 다이어트 목표를 꿈꾸듯 말이다.
“세상 사람들은 하루에 세 권쯤 책을 읽으면 독서가라고 말하는 듯하나, 실은 세 번, 네 번 반복해 읽을 수 있는 책을 한 권이라도 더 가진 사람이야말로 올바른 독서가다.”
— 같은 책, p150 (시노다 하지메의 책 “독서의 즐거움”에서 인용한 것임)
집에 뭐가 너무 많아서 괴로운 것은 꼭 책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리라. 저자는 수집 활동이 가진 위험을 다음과 같이 비유했다.
“광적인 수집가가 아니더라도 모으면 모을수록 수집품이 공간을 압박하고, 부족함을 메우기 위한 ‘번민’이 싹튼다. 커다란 개를 산책시키는 키 작고 힘없는 남자처럼 수집품이 힘을 얻는 순간부터 수집가는 거기에 휘둘린다.”
— 같은 책, p102
성경이 말하는 “큰 폐단 되는 일”이 이런 종류의 일이 아닐런지.
“내가 해 아래서 큰 폐단 되는 것을 보았나니 곧 소유주가 재물을 자기에게 해 되도록 지키는 것이라”
— 전도서 5:13 (개역한글)
]]>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