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ote: 우치다 타츠루, 스승은 있다

우치다 타츠루의 책 “스승은 있다”(박동섭 옮김, 민들레)는 약간은 수수께끼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데 저자는 그런 대화의 미확정성이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을 이룬다고 말한다. 다시 말해 상대방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다 알아버린다면 커뮤니케이션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오히려 상대의 말에 대해 알쏭달쏭하게 생각할 수 있는 여지, 또는 주관적 해석의 여지가 남아 있는 대화가 좋은 대화라고 말한다. 저자는 이런 식으로 적어놓고 독자가 잘 이해하지 못했다면 그걸로 됐다라는 식으로 책을 마무리 짓는다.

“뭐라고요? 여기까지 읽었는데 우치다가 무엇을 말하려는지 모르겠다고요? ” 당신, 이런 책을 써서 도대체 뭘 말하고 싶은 겁니까?” 음…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그러면 이만 노선생은 실례하겠습니다. 부디 용서를!”

— 우치다 타츠루 지음, 박동섭 옮김, “스승은 있다“, 민들레, p150

선생이 던져주는 지식 그대로를 외우는 것으로는 배움이 성립하지 않고, 학생 스스로 의문을 품고 선생이 하는 말을 자기 나름대로 해석해서 이해할 때 비로소 배움이 성립한다는 이야기를 하려는 것 같다. 다만 모든 일에 대해 ‘무엇이든 본인이 생각하기 나름’이라고 흘러가버리면 곤란한 점도 있다. 과학은 각 개인의 주관적 이해를 넘어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사실이 존재함을 전제로 성립되기 때문이다. 그런 취지에서 “깨달음”–사물의 이치에 대한 주관적 이해와 해석–이 배움의 끝은 아닐 것이라 생각된다.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