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thoughts

존재의 양식

몇일 전, 어느 개인 병원 대기실에서 “서랍 안에 녹차, 둥글래차, 커피 있습니다^^*”라고 쓰인 서랍 안에 이런 저런 것 들이 널부러져 있는 모습을 보고 놀랐었다. 혹시 어떤 변화가 있는지 현장에 다시 가 봤는데 이번에는 또 다른 모습으로 물건들이 들어있었다. expectations_22 생각해보니 겉에 쓰인 문구가 거짓말은 아니었다. 그런 녹차, 둥글레차 등이 서랍 안에 있는 것은 맞는데 다만 그 존재의 양식이 문제였던 것이다. 가지런함, 단정함, 정돈된 질서와 같은 양식이 결여된, 그저 존재하는 녹차, 둥글레차, 커피의 의미는 과연 무엇일까? 손님이 알아서 뒤져서 찾아먹는 이것이야 말로 진정한 셀프 서비스인지도. 미용실, 병원, 은행 등 방문객의 대기가 이뤄지는 곳에 잡지를 비치하는 경우, 과월호가 비치되어 있는 것과 최신호가 비치되어 있는 것 사이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간혹 1-2년 지난 잡지를 비치하는 병원은 도대체 무슨 이유에서 잡지를 비치한 것인지 궁금하다. 마치 손님에게 다 식어버려 미적지근한 커피, 탄산가스가 다 빠져버린 청량음료를 대접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같은 잡지라도 여러 사람이 돌려 읽어 표지가 너덜너덜해진 상태의 잡지와 비닐이라도 씌워 깨끗한 상태로 유지된 잡지도 서로 다르다. 손님에게 차를 대접할 때 종이컵에 내놓는 것과 유리잔/사기잔에 내놓는 것도 다르고 찻잔을 받쳐 내놓는지 여부에 따라서도 느낌이 다르다. 존재와 양식은 어떤 관계에 있어야 할까? 때론 존재 자체로 충분할 때도 있다. 아니 어떤 경우에도 존재가 우선이다. 그러나 존재가 기정 사실화 되면 양식의 문제가 대두된다. 예컨대, 아기가 태어날 때면 부모는 제발 건강하게만 태어나기를 기도하는데 태어나고 나서는 건강한 것만으로는 만족을 못한다고 미국의 아동심리학자 James Dobson 박사는 그의 책 Hide or Seek 에서 비꼬았다. 지나친 양식미의 추구가 일본 공무원 사회의 병폐 중 하나라고 지적한 이도 있는데, 양식이 너무 허접해도 문제, 양식미의 추구가 지나쳐도 문제라면 적절한 수준의 양식은 무엇일까? ]]>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