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thoughts

경험 디자인의 (숨은) 함정

경험 디자인이란 항상 있어왔던 것이지만 1998-99년 경에 B. Joseph Pine II 및 James H. Gilmore 교수가 The Experience Economy라는 책에서 스타벅스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과 때를 맞추어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급속히 확대되었다.

경험이라는 측면에 관심의 무게 중심을 옮기게 되면서 등장한 하나의 부작용은 특별한 경험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라면 이를 위해 사용되는 물질의 희생에 대해 간과하기 쉬워졌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테이크아웃으로 아이스 라떼를 들고 걸어다니면서 마시는 독특한 경험을 위해 사람들이 적게는 2500원, 많게는 4600원 정도의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다면 아주 잠깐 동안만 사용되고나서 거의 영원히 썩지 않고 폐기물로 남아있게 될 일회용 플라스틱 컵의 비효율적 활용 패턴이 공동체 안에서 암묵적으로 용인되는 현상이 바로 그거다.

물건을 보호하기 위한 포장은 물질적 효율성을 주요 잣대의 하나로 삼는 반면 상대방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한 포장의 경우 물질적 효율성은 오히려 뒷전으로 밀려나게 된다. 오히려 물질을 낭비하면 할수록 더 깊은 인상을 줄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인지 소위 VIP 마케팅에 사용되는 우편물, 브로셔, 기념품에서 볼 수 있는 재료의 낭비 실태는 차마 눈뜨고 보기 어려울 지경이다.

따라서 경험 디자인의 구성 요소에 물질적 측면을 보완한 디자인 방법론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그런 면에서 포장에 사용되는 물질의 양은 줄이면서 고유한 브랜드 경험을 유지하고자 하는 애플사의 축소지향적인 포장디자인이나 친환경적 재료를 이용하면서 보다 뜯기 쉬운 포장을 지향하여 고유의 브랜드 경험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아마존의 Frustration-Free Packaging 정책은 좋은 참고가 된다.

참고사진: 아마존 킨들의 포장 일부분. 안팎 전체의 재질이 종이로 되어 있고 포장을 뜯기 위해 칼이나 가위가 필요하지 않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