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thoughts

social cost of haircut

출근길에 있는 미용실 커트 가격이 작년부터 줄기차게 오르더니 오늘은 17,000원이 되었다. 한 달에 한 번 하는 커트 비용이 책값보다 비싸다는 생각이 들면서 괜찮은 대안이 없을까 생각하게 되었다.

일본 히토츠바시 국제경영대학원의 구스노키 켄 교수는 나이가 들면서 조금씩 머리가 벗겨지는 자신의 대머리화 과정을 고민하던 중 “공격은 최선의 방어”라는 생각이 들면서 차라리 머리 전체를 짧게 깎는 방법으로 정면돌파하기로 결심했다. 결국 “바리깡”이라고도 하는 삭발기(hair trimmer)를 이용해서 3mm 길이로 머리를 스스로 밀어버렸는데 덕분에 약 13년째 이발소에 가지 않고 있다고 그의 책 “경영센스의 논리”(pp76-88)에 적고 있다. 샴푸의 양도 적게 들고 말리는 시간, 손질하는 시간이 줄어든 것도 장점이라고.

국제경영대학원의 교수도 그렇게 하고 다니는데 나도 짧게 밀고 다니면 어떨까 싶어 길에서 머리 짧은 남자들을 유심히 관찰하기 시작했다. 내 주관적인 느낌이지만 머리를 짧게 밀고 다니는 사람이 주는 인상은 “외로워 보인다”였다. 자기 주장이 강하고 남과 어울려 일하기 보다는 자기 방식대로 자기 일을 하는 사람이기에 머리를 짧게 밀고 다닐 수 있다는 생각에서 그랬다. 그러고 보면 머리를 밀고 다니는 사람끼리 여러 명 같이 다니는 경우는 (종교인을 제외하고는) 거의 보지 못한 것 같다.

머리를 커트하고 샴푸로 감고 손질하는 행동은 다른 사람과 어울려 사는 과정에서 지불하는 비용의 일부분이다. 양복을 드라이해서 입고 구두에 광을 내고 다니는 것도 마찬가지다. 자신이 속한 사회나 공동체가 일반적으로 기대하는 기준에 어느 정도 맞추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비용인 셈이다. 이 기준은 자신이 어떤 사회 조직에 속해 있는지에 따라서도 달라지고, 같은 조직 내에서도 시대의 변천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이렇게 사회 활동에 수반되는 비용의 지출 덕분에 생겨나는 시장이 존재하고 많은 사람들이 이 영역에서 경제 활동을 유지하고 있으니 무턱대고 이 비용을 줄이는 것이 능사는 아니리라.

1-2개월 두문불출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시험삼아 머리를 밀어볼 수 있을텐데.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